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간

한국인의 만성 간염 관리와 치료 -1 (2011/1/24)

한국인의 만성 간염 관리와 치료
 
 
 
 
 
 
 
 
1) Epidemiolog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of HBV in Korea - 정우진 교수 (계명의대)
 
2) B형 간염의 국내외 치료 지침과 변경된 보험급여 기준 - 김상균 교수(순천향의대)
 
3) 내성 B형 간염환자의 관리 - 이태희 교수(건양의대)
 
4) 만성 C형 간염 - 전대원 교수(한양의대)
 
5) Panel Discussion * 패널: 장정원 교수 (가톨릭의대), 우현영 교수 (부산의대)

 
▲ 좌장 배시현 교수(가톨릭의대)
‘한국인의 만성 간염 관리와 치료’를 주제로 한 학술좌담회가 최근 본지 주최로 진행됐다.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늘어만 가고 있는 간염과 그 관리를 주제로 한 이번 학술좌담회는 간학회 홍보위원들이 주축이 돼 향후 학회가 고민해야 할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해 집중 의견을 나눴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가톨릭의대 배시현 교수(간학회 홍보위원장)를 좌장으로 계명의대 정우진 교수, 순천향의대 김상균 교수, 건양의대 이태희 교수, 한양의대 전대원 교수 등이 발표자로 나선 이번 학술좌담회 내용은 총 5회에 걸쳐 연재된다.<편집자 주>  

 

 

Epidemiolog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of HBV in Korea

  
▲ 정우진 교수<계명의대>    
B형 간염의 역학적 특성

B형 간염 환자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만명 이상이 HBsAg 보유자이고, 그 중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가 40만명 이상이다.

2000년대 B형 간염에 대한 역학데이터를 보면, 우리나라에서 HBsAg 보유자는 200만명 이상인데 이는 일본이나 중국과 비교해서도 많은 편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에 비해 B형 간염 환자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196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미국에서 급성 B형 간염 감염률을 보면, 1972년부터 blood screening을 시작하여 B형 간염에 대한 진단율이 높아졌다.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자료를 보면, 1973년에 HBsAg에 대한 선택적인 screening이 시작되면서 HBsAg을 보유하는 것으로 진단받는 비율이 10%대까지 늘었다. 이에 대해서는 5-6년 사이에 B형 간염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기 보다 스크리닝을 통해서 좀 더 많은 환자를 선별해낸 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1973년도에 blood screening을 하면서 4-5%로 알려졌던 HBsAg 보유자율이 1980년대로 가면서 10% 대까지 보고되다가 백신접종이 시행되면서 2000년대에는 점차로 감소하였고 2008년 보고에서는 3.7%로 나타났다. 현재 중학교 학생들에서는 HBsAg 보유자율이 1% 미만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과거 25년 동안에 사용된 백신량을 연도별로 축적해서 HBsAg 보유자율을 살펴보면, 백신량이 누적되어 많아지면서 HBsAg 보유자율은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백신접종 시기를 중심으로 HBsAg 보유자율이 감소되며, 소아에서는 좀 더 저명하게 HBsAg 보유자율이 감소함을 볼 수 있다<그림 1>.

연령대별 HBsAg 보유자율을 비교한 데이터를 보면, 1980년대에 30-40대에서 높은 HBsAg 보유자율이 2000년대에 들어서 확연하게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총 보유자율이 7.1%였지만 2003년에는 3.7%로 보고되었다. 1998년과 2005년에 조사된 지역별 HBsAg 보유자율을 보면, 전국적으로 골고루 HBsAg 보유자율이 줄고 있다.

예방접종이 간경변증,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게 되는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B형 간염 전파형태의 70%가 수직감염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들에서는 90%, 성인에서는 5% 미만에서 만성률을 보인다.

백신접종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의 HBV 보유자율을 보면,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e항원 양성 환자에서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률이 높지만, 백신접종을 한 경우에는 만성 간염으로의 진행률이 낮았다.

B형 간염에 대한 예방접종이 간경변증이나 간암발생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B형 간염이 없고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에서의 간암 발생의 상대위험도를 1로 봤을 때 B형 간염이 없고 백신접종을 한 사람에서는 상대위험도가 0.58이었다.

그리고 HBsAg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대위험도가 18.1로 높게 나타났다<그림 2>.

백신접종을 하지 않고 HBsAg을 가진 경우에는 간암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1900년 후반에 보고되었다.

그렇다면 임상실제에서 이러한 예방접종이 간경변증이나 간암 예방에 효과를 나타내는가?

1985-2008년까지의데이터를 보면 남, 녀 모두에서 백신접종 이후에 간경변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데이터에서 간암 발생률은 줄어들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데, 국내 60~70대에서 간암발생의 원인으로 만성 C형 간염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간암 발생에 관한 원인별 분석이 좀 더 요구될 것으로 생각된다.

예방접종을 함에도 문제가 되는 경우는 예방접종에도 불구하고 항체가 안생기는 경우, 산모의 감염력이 높은 경우인데출산과 동시에 예방접종을 함에도 불구하고 2-14.4%, 북부유럽에서 나온 자료에서는 5-25%에서는 만성 B형 간염에 걸린다고 보고되었다.

요약

한국에서는 1973년부터 시행된 blood screening이 B형 간염의 감염을 상대적으로 줄여 주었을 것이라 이해되며 아주대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transfusion에 의한 간염 환자의 20% 정도가 B형 간염, 나머지 환자들이 non-A, non-B 반응에 의한 C형 간염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방접종을 통한 예방조치 역시 B형 간염의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줄여 주고 이와 동반되어서 간경변증의 발생도 줄여 준 것으로 이해된다. 간암 발생도 궁극적으로 줄여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