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3.06 15:07 | 수정 : 2016.03.06 16:13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고강도 구조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 두 공기업은 지난해 천문학적인 손실을 기록, 생존을 위한 자구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다가 국제 유가, 원자재 가격 급락으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창사 후 최대 순손실(4조5000억원대)을 기록, 위기 극복을 위해 강도 높은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6개 본부의 조직을 4개 본부로 줄이고, 본사 5개 처·실을 감축하기로 했다. 미국, 캐나다, 영국, 이라크, 아부다비 등 5개 해외사무소는 폐쇄한다. 임원과 처·실장은 일괄 사직서를 제출하고, 올 3월 중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2020년까지 인력을 단계적으로 줄여, 30%의 감축을 실시한다. 직원수가 현재 4194명인데 2936명 수준까지 줄인다는 방침이다.
임직원 총 연봉을 10% 반납해 100억원 이상의 인건비를 줄이고, 해외근무·특수지 수당도 30% 줄이기로 했다. 울산 혁신도시에 자리잡은 본사 사옥(2000억원)도 매각하기로 했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유가하락에 따른 판매단가 하락으로 개발부문 매출 감소, 미 달러화 강세로 환율변동 손실이 컸다”고 밝혔다.
광물자원공사도 대규모 적자(순손실 2조600억원)와 광물가격 하락에 따른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직원수를 20%(118명) 감축할 계획이다. 올해 명예·희망퇴직을 실시해 인력 감원을 추진한다.
광물자원공사는 전 임직원이 최대 임금의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경영성과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본부장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재신임을 받기로 했다.
2017년까지 조직규모를 22%까지 축소하고, 해외사무소는 11곳 중 8곳을 폐쇄한다. 폐쇄 후 남는 사무소는 중국, 캐나다, 남아공이다. 경영진은 해외 출장시 항공편 이코노미석 탑승, 관용차 매각 등을 추진한다.
김영민 광물자원공사 사장은 “인사개혁, 투자사업 조정, 긴축경영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필사즉생의 정신으로 경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2020년까지 인력을 단계적으로 줄여, 30%의 감축을 실시한다. 직원수가 현재 4194명인데 2936명 수준까지 줄인다는 방침이다.
임직원 총 연봉을 10% 반납해 100억원 이상의 인건비를 줄이고, 해외근무·특수지 수당도 30% 줄이기로 했다. 울산 혁신도시에 자리잡은 본사 사옥(2000억원)도 매각하기로 했다.
석유공사는 “지난해 유가하락에 따른 판매단가 하락으로 개발부문 매출 감소, 미 달러화 강세로 환율변동 손실이 컸다”고 밝혔다.
광물자원공사도 대규모 적자(순손실 2조600억원)와 광물가격 하락에 따른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직원수를 20%(118명) 감축할 계획이다. 올해 명예·희망퇴직을 실시해 인력 감원을 추진한다.
광물자원공사는 전 임직원이 최대 임금의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경영성과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본부장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재신임을 받기로 했다.
2017년까지 조직규모를 22%까지 축소하고, 해외사무소는 11곳 중 8곳을 폐쇄한다. 폐쇄 후 남는 사무소는 중국, 캐나다, 남아공이다. 경영진은 해외 출장시 항공편 이코노미석 탑승, 관용차 매각 등을 추진한다.
김영민 광물자원공사 사장은 “인사개혁, 투자사업 조정, 긴축경영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필사즉생의 정신으로 경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고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선보다 치열한 국회 8급 공채...11명 뽑는데 7532명 몰려 (0) | 2016.04.14 |
---|---|
청년실업 12.5%… 日 최악상황 때보다 심각 (0) | 2016.03.17 |
'배터리 올인' 삼성SDI, 작년말부터 희망퇴직 받아 (0) | 2016.03.07 |
삼성물산 구조조정의 역풍…"우수 직원 엑소더스에 회사 골머리" (0) | 2016.03.07 |
[20대를 말하다]② 너무 높은 취업 장벽…첫발부터 좌절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