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2.26 12:00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437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증가율로는 2014년의 반토막 수준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났던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가처분 소득은 352만8000원으로 0.7% 증가에 그쳤다.
월 평균 소비지출은 256만3000원으로 0.5% 늘었고, 세금·공적연금·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1만원으로 0.7% 증가했다. 가처분소득 중 소비에 쓰인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전년대비 1.0%포인트 하락한 71.9%에 그쳤다. 연간기준으로 통계작성 후 최저수준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5년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전년(430만2000원)보다 7만1000원(1.6%) 늘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구소득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났던 2009년 1.2%를 기록한 이후 3~6%대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2010년과 2011년 5.8%를 기록했고, 2012년 6.1%까지 치솟았다가 2013년 2.1%로 낮아졌다. 2014년에는 3.4%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근로소득이 291만8600원으로 전년(287만2000원)보다 1.6% 증가했고, 기초노령연금 등의 실행으로 이전소득은 43만7600원으로 전년대비 9.4% 늘어났다.
반면, 재산소득은 1만9700원으로 전년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쳤고, 사업소득은 84만5900원으로 전년대비 1.9% 감소했다.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이 포함되는 비경상소득은 15만1300원으로 1.6% 증가했다.
김보경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소득증가율이 지난해(3.4%)보다 둔화된 것은 근로소득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경기부진으로 자영업자들의 퇴출이 늘어난 영향으로 사업소득이 감소했고,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금융소득 증가율이 크게 둔화된 것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을 모두 합친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337만3300원으로 전년(335만6000원)보다 0.5%(1만7300원) 증가했다.
- ▲ 2006~2015년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추이/그래프=통계청 제공
소비지출은 256만3000원으로 0.5% 늘었다. 2014년 소비지출 증가율 2.8%에서 크게 후퇴한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0.2%로 역시 2013년(-0.4%) 이후 최저치다. 항목별로는 식료품(0.8%), 주류담배(18.8%), 주거수도광열(4.8%), 음식숙박(1.4%) 등이 지출이 늘었고, 의류신발(-4.4%), 교통(-3.7%), 통신(-3.7%), 교육(-0.4%) 등은 줄었다.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81만원으로 전년대비 0.7% 증가했다. 사회보험료(3.7%), 연금(2.4%), 경상조세(2.0%), 비경상조세(9.5%) 등은 지출이 증가했고, 이자비용(-5.9%), 비영리단체로 이전(-1.1%) 지출 등은 줄었다. (조세 지출은 근로소득세·재산세·사업소득세 등 가계에 부과되는 직접세인 '경상조세'와 부동산세·자동차 취득세 등을 아우르는 '비경상조세'를 합친 것이다. 가계가 물건을 사고 음식을 사 먹을 때 내는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등 간접세가 포함되지 않았다)
지난해 전체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356만3000원으로 전년(349만8000원) 대비 1.9% 늘어났다. 저축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액은 100만원으로 5.6% 늘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 비율(흑자율)은 28.1%로 1.0%포인트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의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1.0%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2010년(77.3%) 이후 5년 연속 하락했다.
소득분배 상태를 보여주는 2인가구 이상 소득 5분위 배율은 4.22배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이 배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소득 상위 20%와 소득 하위 20% 간 소득격차가 낮아진다는 의미다.
소득 5분위 배율이 낮아진 것은 지난해 1분위(소득하위 20%) 소득이 4.9%나 증가한 반면 5분위 소득(상위 20%)이 0.6% 증가한 데 그쳤기 때문이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4분위(2.3%)가 가장 높았고 5분위(-1.3%)는 가장 낮았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전반적으로 가계소득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저소득층 소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소득불균형이 개선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가계소득이 늘어나고 소비가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 ‘2015년 가계동향’ 발표
직장인 이모 씨(35)는 지난해 연봉이 소폭 오르자 곧장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했다. 연말까지 400만 원을 납입해 올해 연말정산에서 13.2%의 세액공제를 받았다. 해외여행을 자제했기 때문에 신용카드 사용액은 지난해보다 200만 원가량 줄어들었다. 이 씨는 “노후 대비를 위해 최대한 씀씀이를 줄일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경기 침체 여파로 지난해 가계 소득은 찔끔 오른 반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소비심리는 급격히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2015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7만1000원(1.6%) 증가했다. 이는 2014년 소득 증가율(3.4%)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봉급생활자들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1.6% 증가했지만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로 자영업자들의 사정이 나빠져 연간 사업소득(―1.9%)은 처음으로 감소했다.
주머니가 얇아지면서 지갑은 더욱 굳게 닫혔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56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 소비지출은 오히려 0.2% 줄었다. 그 결과 연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액 비율인 ‘소비성향’은 지난해 71.9%로 전년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가계가 돈을 번 만큼 쓰지 않아 흑자가 생기는 ‘불황형 흑자’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월평균 가계 흑자액은 100만 원으로 전년보다 5만3000원(5.6%) 늘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흑자액을 나타내는 흑자율은 2014년 27.1%에서 2015년 28.1%로 높아졌다.
다만 소득 양극화는 다소 해소됐다. 지난해 최상위 20% 소득을 최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4.22배로 2003년 전국 단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김보경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기초연금 등 정부의 이전 지출이 늘어나고 경기 둔화로 고소득층의 사업소득 증가율이 낮아져 소득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 > 숫자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졸신입 '연봉 킹'은 자동차회사… 대기업·中企 임금격차 더 커져 (0) | 2016.03.08 |
---|---|
2015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공표 (0) | 2016.03.07 |
억대 연봉자 53만명, 전체 근로자의 3%…울산 8.5% '최고' (0) | 2016.02.25 |
금융권 억대 연봉 비중 16.6%... 6명 중 1명꼴 (0) | 2016.01.30 |
'억대 연봉' 샐러리맨 53만명, 5만명 늘어…근로자 평균연봉 3170만원 (0) | 2015.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