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2.21 03:04
[7개월간 공석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연봉 2배 인상 추진]
퇴임후 3년간 유관기관 취업못해
장관·이사장 지휘받는 층층시하… 본부장 독립성 확보 어려운 구조
다음달 5일 공모 절차 마감
국민연금공단이 7개월간 공석(空席)인 기금운용본부장(이사) 선임을 위해 현재 3억원대인 기금운용본부장의 연봉을 두 배 수준으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은 자산규모 600조원이 넘는 국민연금 기금을 주식·채권 등 각종 자산에 투자하는 업무를 책임지는 자리다. 일본 공적연금펀드,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함께 세계 3대 연기금으로 꼽히는 국민연금의 기금운용본부장 공석 사태를 매듭짓기 위해 파격적인 연봉 인상책을 내놓은 것이다.
20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 기금이사추천위원회는 최근 기금운용본부장 공모를 앞두고 회의를 열어 차기 기금운용본부장에 대해 임기의 두 배에 해당하는 연봉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금운용본부장은 기본 임기 2년에 1년 단위로 연임이 가능한데, 퇴임 후 3년간 자산운용사 같은 유관 기관에 취업할 수 없다. 이를 감안해 연봉을 두 배 수준으로 올려주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고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위상에 걸맞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연봉 인상을 포함한 획기적인 인재 유치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20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 기금이사추천위원회는 최근 기금운용본부장 공모를 앞두고 회의를 열어 차기 기금운용본부장에 대해 임기의 두 배에 해당하는 연봉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금운용본부장은 기본 임기 2년에 1년 단위로 연임이 가능한데, 퇴임 후 3년간 자산운용사 같은 유관 기관에 취업할 수 없다. 이를 감안해 연봉을 두 배 수준으로 올려주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고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위상에 걸맞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연봉 인상을 포함한 획기적인 인재 유치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기금은 작년 11월 말 기준 자산 규모가 615조원에 달한다. 이 때문에 글로벌 투자은행을 비롯한 유수의 금융회사들은 투자 유치 등을 위해 기금운용본부장을 만나려고 혈안이 되곤 한다. 기금운용본부장은 무엇보다 우리 국민의 노후 자금 운용을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이지만 전 정부가 임명한 강면욱 본부장이 작년 7월 중도 사퇴한 이후 현재까지 공석이다. 국민연금공단은 다음 달 5일까지 기금운용본부장 공모 절차를 밟고 있다.
연금공단 측은 장기간 공석 사태가 빚어진 것에 대해 "그동안 이사장도 공석이라 후임 인선을 하기 어려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간접적으로 후임자를 물색했지만 마땅한 인사를 찾지 못해 공식적인 선임 작업을 개시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후임자 선정 작업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는 금전적인 문제다. 현재 자산운용본부장의 연봉은 인센티브를 포함해 3억원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군이라 할 수 있는 중소형 자산운용사 CEO(최고경영자)나 대형 자산운용사 주식운용본부장의 연봉이 인센티브를 제외하고 보통 3억원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적다고 볼 수는 없지만, 3년 취업 제한을 고려하면 사실상 업계 절반 수준이라는 평가다. 연봉 인상 추진은 퇴임 후 취업 제한에 따르는 불이익을 줄여주겠다는 취지다.
관련 업계에서는 인재 유치를 위해선 연봉 인상만으로 충분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보건복지부 장관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의 지휘를 받는 현재의 층층시하 구조에서는 기금운용본부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홍완선 전 본부장의 경우 당시 이사장과 갈등을 빚다 결국 연임에 실패한 바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찬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혐의로 홍 전 본부장이 실형 선고를 받자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정치적인 의사 결정에 휘말리는 사태를 특히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현 정부가 추진하는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가 도입될 경우 국 민연금이 대주주인 회사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할 일이 많아지게 돼 이 같은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국내 한 자산운용사의 임원은 "주요 대기업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의 의사 결정은 대다수 기관투자자들에게 방향타 역할을 하게 된다"면서 "국민연금의 의사 결정이 자칫 대규모 투자 실패 등으로 이어질 경우 향후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금공단 측은 장기간 공석 사태가 빚어진 것에 대해 "그동안 이사장도 공석이라 후임 인선을 하기 어려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간접적으로 후임자를 물색했지만 마땅한 인사를 찾지 못해 공식적인 선임 작업을 개시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후임자 선정 작업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는 금전적인 문제다. 현재 자산운용본부장의 연봉은 인센티브를 포함해 3억원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군이라 할 수 있는 중소형 자산운용사 CEO(최고경영자)나 대형 자산운용사 주식운용본부장의 연봉이 인센티브를 제외하고 보통 3억원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적다고 볼 수는 없지만, 3년 취업 제한을 고려하면 사실상 업계 절반 수준이라는 평가다. 연봉 인상 추진은 퇴임 후 취업 제한에 따르는 불이익을 줄여주겠다는 취지다.
관련 업계에서는 인재 유치를 위해선 연봉 인상만으로 충분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보건복지부 장관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의 지휘를 받는 현재의 층층시하 구조에서는 기금운용본부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홍완선 전 본부장의 경우 당시 이사장과 갈등을 빚다 결국 연임에 실패한 바 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찬성에 영향력을 행사한 혐의로 홍 전 본부장이 실형 선고를 받자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정치적인 의사 결정에 휘말리는 사태를 특히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현 정부가 추진하는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가 도입될 경우 국 민연금이 대주주인 회사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할 일이 많아지게 돼 이 같은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국내 한 자산운용사의 임원은 "주요 대기업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의 의사 결정은 대다수 기관투자자들에게 방향타 역할을 하게 된다"면서 "국민연금의 의사 결정이 자칫 대규모 투자 실패 등으로 이어질 경우 향후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2/21/2018022100076.html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年 10% 이자에 비과세!… 뜨거운 브라질 국채, 변수는 환율 (0) | 2018.03.05 |
---|---|
'흙수저' 배달원, 18년만에 상가개발 황금손 됐다 (0) | 2018.03.05 |
예·적금 안주하다간 쩔쩔 … 해외 주식·채권 등 분산 투자해야 (0) | 2018.01.14 |
야간선물 지수 보면 코스피 지수가 보인다? (0) | 2018.01.03 |
도심에도 강남∙판교에도 오피스 매물 쏟아진다 (0) | 201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