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숫자와 통계

대기업 아니면… 공무원, 민간보다 최고 7억8000만원 더 번다

입력 : 2017.10.30 03:28

7·9급 공시생, 평생소득 더 유리… 임금인상률 높고 퇴직 늦은 덕분

공무원이 되면 중소·중견기업 취직자보다 퇴직 때까지 최대 8억원 가까이 더 벌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갈수록 많은 취업 준비생이 '공시(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것도 직업의 안정성 측면뿐만 아니라 높은 기대 소득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공무원 시험이 퇴직 전 누계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7·9급을 준비한 공시생이 시험에 합격해 공무원이 되면 공시에 실패하고 소기업(근로자 수 1~49명)에 취직한 경우보다 평생 소득이 최대 7억8058만원 더 많았다. 공무원은 퇴직까지 15억원 넘는 소득을 올린 반면 소기업의 경우 8억원에 조금 못 미쳤다. 또 중견기업(300~999명) 취업자보다는 최대 4억8756만원 많았고, 대기업(1000명 이상) 취업자보다는 6875만원 적었다. 바늘구멍인 대기업 입사에 성공하지 않는 이상 공무원이 되는 게 신분 보장뿐만 아니라 소득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공무원의 처우 개선, 호봉, 승진 등 임금 인상률(연평균 약 7%)이 대기업(6.2%)보다 높고, 퇴직 연령은 평균 56~59세로 대기업(52세)보다 늦어 근무 연수가 길어지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번 연구 결과는 공무원이 직장 안정성뿐 아니라 금전적 측면에서도 민간 기업체보다 선호될 수밖에 없는 직종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민간 기업체보다 과도하게 설정된 정부의 보수 체계를 조정해 합리적인 인력 배분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상호 연구위원은 "공시생 중에 실제 공무원이 되는 비율은 10% 정도에 불과하다"며 "공무원 합격이 소득을 올리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시험에 실패하면 평생 소득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경원은 한국고용정보원의 2007~ 2014년 대졸자 직업 이동 경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민간 기업 취직자의 연소득과 퇴직 연령, 임금 인상률, 물가 상승률 등 각종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30/2017103000292.html?main_hot4#csidx02d4f5793335dfdbb8447260f4f7c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