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강세가 지속될 수 없는 이유
2015.03.19|조회 6388 | |
---|---|
2011년 9월부터 달러가치가 오르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에 따르면 미 달러는 주요국 통화에 비해서 2015년 3월까지 31%나 상승했다. 이 같은 달러 가치 상승은 미국 경제 회복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올 하반기 이후에는 미국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달러 가치 상승세가 멈출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경제, 2009년 6월 이후 확장국면 지속
미국 경제, 소비 중심으로 회복
수요 측면에서는 고용 증가와 자산가격 상승이 소비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 미국이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2년 동안(2008년 2월~2010년 2월) 비농업 부문에서 일자리가 872만개 줄었다. 그러나 그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2015년 2월까지 고용이 1148만개 늘었다. 금융위기 때 10%까지 올라갔던 실업률도 올해 2월에는 5.5%로 크게 낮아졌다.
한편 자산가격 상승도 미국 소비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미 연준은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연방기금금리를 5.25%에서 0.00~0.25%로 인하하고, 이도 모자라 3차례 양적 완화를 통해 3조 달러가 넘는 돈을 찍어냈다. 이에 따라 2009년에 676까지 떨어졌던 주가(S&P500)가 최근에는 2100까지 3배 이상 상승했고, 주택 가격도 꾸준하게 오르고 있다. 미국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동산 자산 가치가 오르면서 소비를 늘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금융자산은 2014년 말 현재 68조 달러로 2009년 1분기(45.1조 달러)에 비해 51%나 증가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현재 68%이다. 고용 증가와 자산 가격 상승에 따라 소비가 증가하면서 미국 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위기 직전이었던 2008년 2분기보다 미국 GDP가 8.9% 증가했는데, 소비는 그보다 높은 10.3% 증가하면서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같은 기간 동안 일본의 GDP가 거의 정체 상태이고, 유로존의 GDP는 1.5% 감소한 것과 비교해보면 선진국 중에서 미국 경제의 회복속도가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선진국간 경제 회복 차이가 엔이나 유로에 비해서 달러 가치 상승을 초래한 것이다.
선진국간 통화정책도 달러 가치 상승 초래
엔화 가치 상승은 일본의 디플레이션 압력을 더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일본중앙은행은 그 이후 과감한 양적 완화로 대응하면서 엔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고 있다. 2013년 한해 동안 일본의 본원통화가 46%나 증가했고 2014년에 21% 늘었다.
경상수지, 금리차이 등 여러 가지 경제변수가 환율에 영향을 준다. 그 중에서도 엔/달러 환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미국과 일본의 본원통화 상대적 비율이다. 일/미 본원통화비율과 엔/달러 환율에는 상관계수가 0.8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012년부터는 미국보다 일본이 훨씬 더 많은 돈을 찍어 냈고, 이것이 엔 가치 하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2년 1월에 76엔이었던 엔/달러 환율이 최근에는 121엔으로 상승했다. 다시 엔/달러 환율이 2009년 2월 수준으로 되돌아온 것이다.
유로가치 하락이 달러 강세 초래
미국은 지난해 10월 양적 완화를 마무리하고 이제 금리 인상 시점을 찾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미국 경제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기 때문에, 연준은 빠르면 올해 6월 늦어도 9월에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반면에 일본중앙은행은 양적 완화 정책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고, 유럽중앙은행은 이제 돈을 풀기 시작했다. 머지 않아 패리티(유로와 달러가 1:1) 시대가 도래할 가능성이 높을 정도로 달러는 유로에 대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경제, 아직도 디플레이션 압력 존재
우선 미국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디플레이션 압력이 존재한다. 아래 <그림 10>은 미국 의회에서 추정한 잠재GDP와 실제 GDP의 차이이다. 2008년 하반기에 미국이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2009년 2분기에는 실제 GDP가 잠재 수준보다 7.2%나 떨어졌다. 그러나 그 이후 미국 경제가 소비 중심으로 회복되면서 산출물 갭(output gap=잠재와 실제 GDP 차이)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2014년 4분기 현재도 이 갭이 2% 정도로 아직도 미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압력이 남아 있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이 천문학적 돈을 풀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 안팎에서 안정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는 매우 안정적이다. 국채(10년) 수익률이 현재도 2% 정도에서 머물고 있다. 국채 수익률에는 미래의 기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반영되어 있다. 국채수익률이 이렇게 낮은 것은 앞으로 미국 경제 성장률이 떨어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디플레이션이 올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이가 축소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 국채 10년과 2년 물의 수익률이 차이가 2013년 12월 2.56% 포인트를 고점으로 올해 2월에는 1.33% 포인트로 줄었다. 장단기 금리차이가 축소된 후 시차를 두고 경제성장률은 하락했다.
민간부분 디레버리징 과정
가계와 기업의 디레리징 과정에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면서 경제성장률이 크게 둔화되자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서 경기를 부양했다. 그 후 경제는 회복되었으나, 이제는 정부가 부실해졌다.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위기 이전 해인 2007년에 63%였으나, 지난 해 말에는 103%로 높아졌다. 정부 부채 규모도 2014년 말 현재 18조 1414억 달러로 의회가 추가로 상한을 올려주지 않으면 정부가 부도날 상황에 근접해 있다.
민간부문이 디레버리징을 마무리하고 소비와 투자를 늘려 경제가 민간 주도로 회복되었을 때, 세금이 늘고 정부 부채가 줄어들 수 있는데 아직 그런 상황은 아닌 것이다.
대외 불균형 해소 과정
중국의 미 국채 매도
그러나 중국이 이제 미 국채를 줄이고 있다. 지난 2014년에 중국의 미 국채보유액이 257억 달러 줄었고, 올 1월 한 달에도 52억 감소했다. 일본과 영국 자금이 미 국채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중국 자금의 유출을 상쇄해주고 있지만, 중국이 기업과 은행의 부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구조조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미 국채를 더 많이 매각할 가능성도 높다.
여섯째, 달러 강세로 미국의 제조업 경기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도 ISM 제조업 지수가 50 이상을 지키고 있어서, 제조업 경기의 확장은 지속되고 있지만 그 정도는 약해지고 있다. 2015년 2월 ISM 제조업 지수가 52.9로 지난해 8월 58.1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3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를 보면 미국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표현이 나오고 있는데, 미 연준이 급격한 달러 가치 상승을 간접적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주가 과대평가 해소 필요
마지막으로 단기 순환상으로 달러 가치가 장기 추세선에서 많이 벗어났다. 아래 <그림 17>은 호드릭-프레스콧 필터로 달러 지수의 장기추세를 구하고 난 다음 추세를 제거한 순환변동치이다. 2015년 3월 현재 달러 지수가 추세에서 5%정도 벗어났다. 달러지수가 올라가더라도 조정을 보일 시점이다.
신흥시장 진통 남아 있어
또한 유럽중앙은행이 대규모 양적 완화를 단행하고 있기 때문에 신흥시장에서 달러캐리 자금의 유출을 유로캐리 자금이 어느 정도 보충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할 6월까지(늦으면 9월)는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원자재 가격 하락과 더불어 신흥 금융시장이 한 번은 진통을 겪어야 할 것이다. 그 후 달러 자산을 줄이고 신흥시장 주식을 사도 늦지는 않을 것 같다.
| |
| |
'경제 > 경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게 형성된 상태를 전문 용어로 '콘탱고(contango)' ,<-> 백워데이션(선물 저평가, 현물 고평가) (0) | 2016.02.16 |
---|---|
망상에 사로잡힌 '버냉키 추종자들' - 스티븐 로치 예일대 경영대 교수 (0) | 2015.05.10 |
상위 1%에만 유리한 미국, 청년들은 가난 대물림 … 세제·교육 개혁하라 (0) | 2015.03.02 |
금리 1% 시대, 月 80만원 벌이가 현금 5억원보다 힘 된다 (0) | 2013.05.24 |
그들도 파티를 망치고 싶어하진 않는다 (0) | 201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