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급등으로 가계 지출이 늘어나면서 10가구 중 3가구가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일 '1분기(1~3월) 가계동향' 보고서에서 "올해 1분기 전국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30.5%로 작년 같은 기간(29.1%)보다 1.4%포인트 늘었다"고 밝혔다. 적자 가구는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가구를 가리킨다. 이는 과거 최고였던 2006년 1분기(30.5%)와 같아진 것이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소득 하위 20%의 적자 가구 비율이 62.0%로 작년 같은 기간(58.5%)보다 3.5%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소득 상위 20%의 적자 가구 비율은 10.6%로 작년 같은 기간(11.4%)보다 오히려 0.8%포인트 줄었다.
이처럼 적자 가구 비율이 늘어난 것은 물가 급등으로 인해 소득보다 지출이 더 많이 늘어난 데다, 물가가 저소득층의 소비 비중이 높은 농축수산물을 중심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올 1분기에 가구당 월평균 소득(385만8000원)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5% 증가했지만, 월평균 지출(317만6000원)은 4.7% 증가했다. 특히 소비 지출은 가격이 크게 오른 식료품·음료비(8.4%), 보건·의료비(10.9%), 연료비(10.2%) 등에서 급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4.1%를 기록한 이후, 2월 4.5%, 3월 4.7% 등 고공 행진을 계속했다.
이 때문에 물가 상승을 감안한 1분기 실질 가계 소득은 작년보다 0.9% 감소했고, 실질 소비는 0.7% 증가했다. 실질 가계 소득은 작년 4분기에 1.2% 감소한 데 이어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처분 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구당 평균 흑자액은 68만2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69만5100원)보다 1.9% 감소했다.
다만 소득만 고려한 소득분배 지표는 다소 개선됐다. 1분기의 5분위 배율(상위 20%의 평균 소득을 하위 20%의 평균 소득으로 나눈 것)은 5.66배로 작년 같은 기간(5.82배)보다 하락했다.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기초노령연금 등 각종 연금과 정부의 보육비 지원이 늘었기 때문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주택 시장 암울" 두 전문가의 경고 (0) | 2011.06.10 |
---|---|
세계 두번째 비싼 등록금… 상위(소득 기준) 20% 가정도 '휘청' (0) | 2011.06.06 |
KDI "물가 최고 4.5%..상승세 장기화 우려" (0) | 2011.05.22 |
[경제 구루에게 묻다] 로버트 돌 블랙록 부회장 (0) | 2011.05.18 |
[글로벌 헤드라인] 5월 18일 (0) | 201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