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준 7월 금리동결 대가 치를 것”…미국發 ‘R 공포’에 코스피 2600선도 위험할까? 입력2024.08.05. 오전 8:08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미국에서 불거진 경기 침체(Recession)에 대한 공포가 미국을 비롯해 글로벌 증시를 강타하면서 국내 증시의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고용 쇼크와 인공지능(AI) 주가 거품론까지 불거지면서 미 뉴욕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이틀 연속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국내 증시에서도 코스피·코스닥 지수의 추가적인 약세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술주 중심의 미 나스닥 지수는 지난 1일(현지시간) 2.3% 급락한 데 이어 2일(현지시간)에도 2.4% 떨어진 1만6776.16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5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4% 하락했다.신종 코로나바이러.. 더보기 뜨거운 수도권 청약 시장…평균 경쟁률 100대 1 뜨거운 수도권 청약 시장…평균 경쟁률 100대 1입력 2024.07.28 10:01최근 수도권 청약 시장 평균 경쟁률이 100대 1에 육박한다. 수도권 중심으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커진 데다 이달에는 ‘인기 청약 단지’와 무순위 청약이 몰리면서 청약 시장이 뜨겁다. 26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95.75대 1로 나타났다. 지난달 평균 경쟁률이 8.02대 1인 것과 비교하면 10배 이상 뛰었다. 인터넷 청약이 도입한 2007년 이후 월간 기준으로 2020년 11월(128.22대1)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다. 이달 청약 경쟁률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성남시 금토지구에 분양한 ‘판교테크노밸리 중흥S-클래스’다. 26가구 모집에 2만8869.. 더보기 승승장구하다 돌연 '급락'…2주 만에 9조 날린 개미들 '비명' 박한신 기자입력2024.07.26 17:23 '일곱 난쟁이'로 전락한 美 M7 몸값 논란에 빅테크 주가 휘청엔비디아 한달새 20% 급락테슬라·애플 등도 하락세 서학개미 M7 투자 52조 달해 미국 나스닥지수 상승을 주도한 ‘매그니피센트7’(M7) 주식이 최근 들어 급락하면서 이들 종목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이 불어나고 있다. 최근 한 달 동안 서학개미들은 M7 주식을 10조원어치 샀는데, 10거래일 사이에 평가익이 9조원 가까이 줄었다. 26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한국에서 M7 종목에 투자한 보관금액(주식 평가액)은 지난 24일 기준 378억3382만달러(약 52조4150억원)에 이른다. 보관금액이 가장 많은 주식은 테슬라로 126억4152만달러(약 17조5136억원)고, 지수 상승을 이.. 더보기 '어대트' 강타한 美증시…'트럼프 수혜주' 떴다, 뭐길래 배태웅 기자기자 구독입력2024.07.18 17:43 뉴욕 증시 주도주 바뀌나 빅테크 주춤하자 금융株 떴다 JP모간·BoA, 5거래일간 5% 올라당선땐 보험·금융 규제완화 기대재무장관에 다이먼 거론되기도 엑슨모빌·셰브런 에너지株도 강세월가 "내수비중 큰 업종 주목해야" 올 상반기 미국 증시를 주도해온 인공지능(AI), 반도체 업종이 주춤하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미국 상장사 중 은행, 보험과 내수 업종을 주목하라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미국 대통령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관련 업종이 정책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관련주는 이미 뜀박질을 시작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트럼프 수혜에 금융·내수주 ‘주목’17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금융주를 모은 ‘S&P500 금융’지수는 .. 더보기 文때 정점 수준 치솟은 서울 집값, 2년만에 다시 들썩이는 까닭 [뉴스Q] 심상찮은 서울 아파트값… 앞으로 어떻게 될까정순우 기자입력 2024.06.22. 문재인 정부 때 집값 불안이 절정에 달했던 2021년을 지나 2022년부터 2년여간 잠잠하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최근 다시 들썩이고 있다. 정부 집계 통계로 아파트값 상승세가 석 달째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곳곳에서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는 아파트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매매 가격의 선행 지표인 아파트 전셋값이 1년 넘게 오르는 데다가 하반기 중 금리 인하가 시작될 가능성이 커 아파트 매수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2020~2021년과 같은 ‘패닉 바잉’과 ‘미친 집값’ 현상이 다시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서울 아파트값, 2년 만에 다시 들썩이는 까닭한국부동산원 집계로 이번 주(17일 기준).. 더보기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더니”…서학개미 성적표 까보니 대성공, 하반기는? 김정석 기자 jsk@mk.co.kr입력 : 2024-07-08 20:21:34 NH증권 개인계좌 분석결과올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중9개 종목서 모두 수익 거둬엔비디아, 평균 119% 수익MS는 손실 본 투자자 0%대 국내 증시를 떠난 서학개미들이 상반기 성공적인 투자 성적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증시가 최고가 경신 행진을 벌일 정도로 안정적인 우상향을 해온 만큼 개인투자자의 ‘K증시 엑소더스’가 결국 합리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8일 매일경제신문이 의뢰해 NH투자증권이 자사 개인 고객 계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올해 개인투자자들은 엔비디아를 통해 평균 118.72%의 수익률을 거뒀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올해 국내투자자들이 지난 3일까지 가장.. 더보기 22년전 IMF 위기는 일본 은행에 의해 터졌다 김현민기자 승인 2019.04.22 단기외채 절반 차지한 일본계 자금, 먼저 탈출…박태준 등의 지원요청에 거절 중앙일보 이하경 주필이 22일자 ‘문재인 정부발 한·일 관계 파탄의 공포’란 제목의 칼럼에서 일본 대사를 지낸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말을 인용했다. 칼럼에 따르면 유 전 장관은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 때 IMF 행이라는 굴욕을 겪게 한 결정타가 일본의 단기외채 회수였다고 보고, “한국을 가장 잘 지켜 주는 게 일본이라고 생각해 왔던 뉴욕·런던·홍콩의 금융시장은 큰일이 난 걸로 보고 앞다퉈 한국에서 돈을 뺐다”고 말했다. 칼럼은 2년 전인 1995년 11월 14일 김영삼 대통령과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의 발언을 화근으로 짚었다. 김영삼 대통령이 “난징대학살을 .. 더보기 수퍼엔저 잘 버틴 수출… 경상수지 89억弗 흑자 5월, 32개월만에 최대 폭 기록한예나 기자입력 2024.07.06. 한국은행은 5월 경상수지가 89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2021년 9월(95억1000만달러) 이후 32개월 만의 최대 흑자 폭이다. 엔화 가치가 급락하는 ‘수퍼 엔저(低)’에도 우리나라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5월 수출은 589억5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11.1% 증가했다. 반도체와 정보통신(IT) 기기가 각각 53%, 18% 늘었다. 수입은 502억달러로 1년 전보다 1.9% 감소했다. 상품 수출과 수입의 차이인 상품수지는 87억5000만달러 흑자로, 2021년 9월 이후 최대 규모였다. 통상 엔화 가치가 하락하면 일본과 경쟁하는 국내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란..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