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의한… 중국을 위한…
조선·철강·기계·자동차 수출 쑥쑥… 하지만 이런 굴뚝 호황에 취한다면
중국 시장 쟁탈전서 경쟁 뒤처져… 특급 기술 가진 부품산업 키워야
- ▲ 전병서 경희대 중국경영학과 객원교수
일본의 대지진이 한국 증시에는 보약이 됐다. 다시 오지 않을 것처럼 떠나갔던 외국인들이 떼로 몰려와 한국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그런데 매수 종목을 보면 IT강국 한국에서 IT 주식이 아니라 철강·화학ㆍ자동차ㆍ조선주(株) 등의 굴뚝주를 미친 듯이 사고 있다.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수출호황이다. 더 엄밀히 보자면 대(對)중국 굴뚝산업의 수출호황에 베팅한 것이다. 한국의 일본 지진 수혜주는 모두 중국에 수출하는 중국 관련 주들이다. 지금 한국의 수출 호황산업을 보면 석유화학·조선·기계·철강·자동차 산업 순이다. 3월에 이들 산업의 수출은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자동차가 25% 증가했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석유제품은 88%나 늘어났다.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 셋을 더하면 무엇이 나올까? 난센스 퀴즈 같지만 답은 중국이다. 한국의 지역별 수출 비중을 보면 미국·일본·유럽을 합쳐서 겨우 26% 선이지만 홍콩을 포함한 대중국 수출 비중은 30%에 달한다. 3월 월간 수출이 사상 최대다. 무역수지도 14개월 연속 흑자로 3월까지 84억달러를 달성했다고 한다. 그런데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는 148억달러로 한국 전체 흑자의 1.7배나 된다.
올해 들어 중국의 수출증가율은 21%였지만 수입은 36%나 늘었다. 2011년은 중국정부가 '내수확대를 통한 소비대국'을 기치로 내건 12차 5개년의 첫 번째 해다. 중국의 5개년 계획 첫해의 수입 확대에 한국이 수출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 달러 유입에 따른 물가상승에 고전하는 중국은 작년 10월 이래로 수출보다 수입을 무지막지하게 늘려 무역수지 흑자를 줄여 달러 유입을 막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가 금융위기의 후유증에 힘들어하고 있는데 한국은 중국을 이웃으로 둔 덕분에 수출호황을 만끽하고 있다. 덕분에 금년 한국 상장기업의 영업이익은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할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한국의 수출호황과 기업 이익에 문제는 없을까?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의 자금순환표상 기업의 이자성 부채는 1027조원에 달했다고 한다. 엄청난 부채에도 이익이 난다는 것은 규모의 경제, 대량생산을 통한 레버리지 효과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이 대량생산에 문제가 생긴다면? 금리가 올라가고 환율이 좀 더 절상되어 금융위기 전으로 돌아간다면 한국기업의 이익은 어떻게 될까?
더 근본적인 문제는 대중국 굴뚝산업의 수출호황에 취한 한국 제조업이다.
과거 한국은 화학, 철강, 자동차, IT산업을 기러기가 날아오듯이 순차적으로 선진국으로부터 이전받아 국산화를 하고 성장산업으로 키웠다. 그러나 지금 중국에는 4마리의 기러기가 동시에 내려앉고 있다. 그래서 한국이 중국에서 국제적 산업이전 과정에서 누릴 이익이 없어졌다. 이미 한국의 포스코가 중국에 최첨단 파이넥스(Finex) 공법 공장을 지을 예정이고, 현대차도 중국에 자동차 공장을 지어 돈을 벌고 있다.
자동차 다음은 IT인데 IT강국 한국의 신화는 끝나가고 있다. 지금 세상은 스마트폰과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네트워크의 세상이 됐는데 한국 IT업계는 글로벌화에 실패해 일본 지진에 버금가는 '아이폰 쓰나미'에 걸려들어 스마트폰에서 고전하고 있다.
한국이 앞으로 중국에 팔 기술이 있을까? 제조업에서는 답이 잘 안 보인다. 제조가 아니라면 금융인데, 한국의 금융업은 이미 중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금융업은 진정 규모의 경제가 중요한 산업이고 대마불사(大馬不死)다. 작년 중국 은행들의 연간이익이 152조원이다. 이미 금융에서 한중(韓中) 간 게임은 끝났다.
전통적인 굴뚝형 산업에서 대중국 수출호황은 우리 기대보다 짧을 수 있다. 중국이 전 세계 내로라 하는 세계 초일류기업들의 경연장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에서 소위 규모의 경제로 경쟁하는 굴뚝산업 같은 '근육형 산업'은 롱런 하기 어렵다. 또한 패션·의류·화장품 같은 감성에 호소하는 '피부형 산업'도 오래 못 간다. 유행이 바뀌고 한류가 맥을 못 추는 순간 바로 간다.
최근 일본에서 세계적인 소재부품업체인 무라타제작소가 지진 피해를 당하자 전 세계 IT세트업체들이 떨고 있다. 이것이 바로 한국 기업들이 벤치마크 해야 할 답안이다. 힘과 규모로 하는 근육형 산업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가진 핵심소재 부품산업, 소위 '세포형 산업'으로 이전해 목숨을 걸고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 국제적인 산업이전이 마무리되어가는 중국에서, 한국이 규모에 의존하는 근육형 산업에만 취해 즐기다 보면 한국 제조업의 대중국 수출호황은 봄날처럼 짧게 끝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논단] 이건희 회장과 안철수 교수가 친구가 되면 (0) | 2011.04.18 |
---|---|
美 소형주 '너무 비싸다' 논란 (0) | 2011.04.18 |
직장인 95.2%, "세금 아깝다" (0) | 2011.04.16 |
코스피 시총 1200조 돌파..1년 전과 비교해보니 (0) | 2011.04.15 |
美 재정적자 사상 최대… 세계경제 발목 잡나 (0) | 201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