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증시 현황

주가 떨어질 때마다 저가매수하던 개미들, 이젠 나가떨어졌다

 

[WEEKLY BIZ] 개인 투자자 매수세 약화

입력 2022.06.09 22:00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이후 미국 증시를 떠받쳐온 개미 투자자의 매수세가 눈에 띄게 약화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1%에 달했으나, 올해 3월에는 12.6%로 줄었다.

 

무료 주식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 등을 기반으로 증시에 유입된 개인 투자자들은 그동안 미 증시가 조정을 받을 때마다 저가에 주식을 매수하는 ‘바이 더 딥(buy the dip)’ 전략을 펼쳐왔다. 지난 2년간은 미 증시가 고꾸라질 때마다 빠른 속도로 ‘V자 반등’에 성공하면서 이들의 전략이 통하는 듯했다. 그러나 올 들어 S&P500이 14%, 나스닥이 23% 하락하는 등 제대로 된 반등 없이 증시가 지속적으로 내리막길을 걷자 이 전략을 포기하는 개미들이 늘어난 것이다.

 

자산 운용사 알파트레이의 맥스 고크만 최고투자책임자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개인 투자자 매수가 줄어들면서 시장 하락세가 더 심해지고 있다”며 “예전엔 주가가 하락하면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먼저 저가 매수에 나섰으나, 올해는 여러 차례 이 전략이 실패하면서 주식 매수에 조심스러워지고 있다”고 했다. 반다리서치 자료를 보면 미 증시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가치는 작년 연말 이후 평균 28% 하락했다.

 

정해진 가격에 주식을 사거나 팔 권리를 주는 옵션 시장에서도 개인 투자자들의 열기가 식고 있다. 지난 3월 말 기준 미국 옵션 거래에서 개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6%로, 팬데믹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작년 8월에는 이 비율이 29.4%에 달했다. 온라인 증권사 TD아메리트레이드의 숀 크루즈 수석 전략가는 블룸버그에 “업계 전반에 걸쳐 개인 투자자 옵션 거래량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남아있는 투자자들도 단일 종목보다는 지수나 ETF(상장지수펀드) 옵션과 같은 광범위한 매크로 기반 옵션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