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땅값이 50년만에 3000배 이상 올랐다. 만약 지난 1964년 100만원 어치 땅을 사 두었다면 현재 그 가치가 30억원이 넘는다는 이야기다. 또 공장 용지의 경우 4만배 이상 올랐다. 당시 100만원 짜리 공장 용지가 지금은 400억원이 넘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 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우리나라의 명목 토지자산 가격 총액은 1964년 1조9300억원에서 2013년 5848조원으로 증가했다. 49년 동안 땅 값이 3030배 오른 것이다. 토지의 제곱미터당 평균가격은 1964년 19.6원에서 2013년 5만8325원으로 상승했다.
대지 가격은 5600억원에서 2971조8000억원으로 5307배 올랐다. 공장용지는 1976년 70억원에서 285조원으로 무려 4만714배 폭등했다. 기타토지도 4459배 증가했다. 반면 답(883배)과 임야(2018배) 등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적게 오른 편이다.
또 국내총생산(GDP)와 땅값의 비율은 392%나타났다. 우리 나라 땅값이 국민들이 한해 동안 생산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보다 4배 비싸다는 의미다. 땅 값의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1964년부터 2013년까지 평균 392% 였다. 그러나 토지가격 상승률은 1990년대 이후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2008년 글로벌
한국의 GDP 대비 토지 가격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지금도 상대적으로 높다는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일수록 GDP 대비 토지가격이 높다.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오랜 선진국일수록 GDP 대비 지가 비율이 높다. 전문가들은 영국 등 전통의 선진국의 토지 가격 합계가 GDP의 1.5배 정도라고 말한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분당선·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鐵路(철로) 같이 쓴다 (0) | 2015.11.18 |
---|---|
'교통지옥' 서울 서북부, 우회도로 건설 또 늦어져 (0) | 2015.11.18 |
1920년 청산리 전투의 기관총 루이스 기관총 (0) | 2015.11.01 |
땅값 59개월째 상승.. 대구, 제주, 세종이 주도 (0) | 2015.10.27 |
[은평 꿈에그린] 광화문 30분 거리…웬만한 곳 전세금으로 내집이 (0) | 201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