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 근로빈곤층, 지금이 IMF 때보다 심각"

보건사회연구원 조사… 현재 143만명 추정


	1990년 이후 근로빈곤층 그래프
최근 우리나라의 근로빈곤층(워킹푸어·working poor) 규모가 외환 위기 때보다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3일 '근로빈곤층 실태 진단과 향후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2011년 근로빈곤층은 전체 취업자의 11.1%로, 외환 위기 직후였던 1999년(9.5%)보다 1.6%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근로빈곤층이란 2인 이상 가구 중 도시에 살면서, 현재 일하고 있거나 일할 능력을 갖췄지만 월 수입은 중위소득(우리나라 전체 가구 소득의 중간값)의 50%(월 118만원) 이하인 소득층을 말한다. 현재 약 143만명 정도가 아무리 일해도 좀처럼 가난을 벗어나기 힘든 근로빈곤층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중에서도 기초소득 보장이 필요한 중위소득 30%(월 81만원) 이하 빈곤층은 39만명에 달한다.

더 심각한 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상대적 빈곤율도 높아진다는 점이다. 18~25세 청년층 빈곤율(9.8%)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개 회원국 가운데 17위로 비교적 양호하다. 26~40세 연령대 빈곤율(7.9%)은 순위가 3계단 올라 14위가 됐다. 그러다가 41~50세(빈곤율 9.4%)에서는 이 순위가 10위, 51~65세(18.3%)에서는 2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게다가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더 높아져 무려 44.9%에 달한다.

상대적으로 복지 제도가 잘 갖춰진 노르웨이는 18~25세 빈곤율은 약 27%로 매우 높은 반면, 51~65세 빈곤율은 5%도 되지 않는다. 나이가 들수록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해진다는 뜻이다.

노대명 기초보장연구센터장은 "지난 1997년 외환 위기, 2003년 신용대란, 2008년 금융 위기 등 3차례 경제적 충격 때문에 우리나라 근로빈곤층 규모가 계속 커져 왔다"면서 "현재의 근로빈곤층이 향후 노인 빈곤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려면 적극적인 일자리 정책과 사회보험 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