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

Household Income Quintiles Household Income Quintiles 1967 to 2018 Income limits and mean income for each quintile of household income, 1967 through 2018. 더보기
사학연금 계산법 공무원/사학연금 계산법 2016.03.24 | 답변12 선배 교수님들~, 공무원 혹은 사학 연금 수령금액을 계산해 볼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올해 임용된 신임교수가 27년 근무후 은퇴 하였을때, 현재 화폐 가치로 연금 월 300만원 정도 수령 가능한가요? 그리고, 미국 학교에서 근무할때 소셜시큐리티를 5년 (20크레딧) 납부하였는데, 한국에서 은퇴시 공무원/사학연금과 합산하여 받을수 있는지요? (국민연금 + 미국 소셜시큐리티 은퇴연금 합산은 가능). 아직, 한참 남았지만, 와이프가 은퇴 포트폴리오 만들어 보자고 하는데 머리가 백지 상태입니다. 전문가 상담을 받는게 좋을까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추천0신고 일부 급여 많은 최상위권 대학이 아니면 가능한 얘기는 아닐거 같습니다만. 현행 기준으로 .. 더보기
2019년 공기업 연봉워치 기본급 비슷…경영평가 연동한 성과급이 총액 좌우 인천공항공사 기관장·임원 모두 성과급으로 연봉 1위 평가등급 올라간 울산항만·석유공사도 성과급 인상 석탄공사·마사회, 경영평가 저조해 성과급 0원 응시자 규모가 30만명에 육박한다는 공무원시험. 우리나라 굴지의 대기업 삼성에 입사하는 것보다 공무원이 더 낫다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 공무원과 결을 같이 하는 것이 공기업이다. 공기업은 공무원만큼이나 안정적이고 오래 일할 수 있는 직장으로 취업준비생들에게는 '꿈의 직장'이다. 그 곳에서 일하는 사장, 임원, 정규직원, 무기계약직 직원들은 어떤 대우를 받으며 일하고 있을까. 우리나라 36개 공기업의 2019년 연봉내역을 들여다봤다. 많은 월급쟁이 직장인들이 꾸는 꿈. 바로 회사의 임원이 되는 것이다. 회사의 중역.. 더보기
2015년 4년제대학 전임교원 ‘연봉’ 2015년 4년제대학 전임교원 ‘연봉’ 살펴보니 최근 수년간 등록금 동결·인하에도 불구하고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의 급여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교수 평균연봉이 1억원 이상인 대학도 2013년 62곳에서 지난해 77곳으로 15곳이 증가한 데 이어 올해도 91곳으로 14곳이 더 늘었다. 최근 염동열 새누리당 의원(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15년 전국 4년제 대학 전임교수 직위별 보수현황’에 따르면, 전임교원 직급별 평균연봉은 △정교수 9천481만2천원 △부교수 7천576만1천원 △조교수 5천283만9천원으로 집계됐다. (기사의 세모상자를 클릭하면 해당직급의 대학별 연봉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전임교원 연봉조사는 전국 225개(정교수 219개) 4년제 대학의 본교와 캠.. 더보기
1990년 대 후반 대졸초임 연봉과 현실 http://gerckm.egloos.com/5826920 IMF 시절 무렵인 1990년 대 후반의 100대 기업 연봉통계를 나타낸 신문기사를 살펴보니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기사가 화제가 된 이유는 100대 기업의 대졸초임 연봉 평균은 1860만원으로 현재보다 낮은 수치이긴 하지만 당시 물가를 고려해보면 오히려 높은 금액일 수도 있다는 까닭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1996년 부터 2013년 까지의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4.1%로 집계되었습니다. 단순계산상으로도 18년 간 물가는 약 2.06배나 상승했다고 추측할 수 있는 것이죠. 1996년 당시 대기업 대졸초임 평균연봉이 1860만원이니 2013년 기준으로는 1860만*2.06=3834만원이 되는 셈이네요.(물론 단.. 더보기
1980년대 기업체별 대학졸업자 초임 수당 지급표, 1984.09.01 평균적으로 30만원이 대기업 대졸 초임이었다. ​ 요즘 최고의 안정적인 직업으로 선망받는 공무원. 1975년도 공무원의 월급은 얼마나 됐을까. 당시 경상북도 문경군청 소속 4급 을류(현재 7급 해당) 공무원으로 일했던 김병옥씨가 최근 ‘문경인터넷뉴스’에 공개한 봉급 명세서를 보면 본봉 3만690원, 수당 8500원, 여비 1만1870원, 일·숙직비 400원(계 5만1460원)에, 공제내역은 기여금 1688원, 대한교육 900원, 제일생명보험 700원, 이동조합 2346원, 직장금고 100원, 신문대금 1150원, 전별금 500원, 축의금 300원(계 7884원)으로 기록돼 있다. 실제 수령액은 4만3576원. 5만원이 못되는 돈으로 저축도 하고 술도 마시며 살았다. ‘박봉’이라도 꼬박꼬박 월급받는 이들과.. 더보기
하버드 출신 박사가 동사무소에 취직한 이유는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정년 보장에 목숨거는 중국 청년들 얼마 전 하버드대 생물물리학 박사 출신의 뤄린자오(羅林姣)가 광둥(廣東)성 선전(深圳) 난산(南山)구 타오위안(桃源) 가도판사처(街道辦事處, 주민센터)로 이직을 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다. 그런데 '하버드' 박사가 주민센터로 이직하는, 이러한 행보를 보여준 고학력자는 뤄린자오만이 아니다. 중국 국내 일류 대학의 부교수 한 명도 가도판사처로 자리를 옮겼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국 각 지역의 가도판사처에서 근무하고 있는 칭화(靑華), 베이징대(北京大學)의 석박사 출신들이 넘쳐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고학력자들 실업 심각'이라는 측면에서 국내에 보도되기도 했는데, 이것이 과연 고학력자들의 취업난만을 보여주는 문제일까? 고학력자들의 엉뚱한 선택 뤄린자오의 행보가 언론의 주목을 받았던 것은 .. 더보기
석박사 연봉 2000만원 시대, 교수라도 잘 만나야 대기업 간다 입력 : 2016.05.04 16:30 취업 성공한 박사학위 취득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 대학원 교수 "날 믿고 이 학생 써달라"고 기업, 연구소에 부탁 취업 실패한 학부생들은 대학원으로 몰려 극심한 청년 취업난이 이어지면서 석박사 학위를 딴 졸업생들도 비정규직을 전전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창용 박사팀이 2014년 8월과 2015년 2월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9259명을 분석한 결과, 76.4%는 취업자, 20.3%는 미취업자였습니다. 취업률 자체만 보면 얼핏 양호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다릅니다. 취업에 성공한 박사학위 취득자 중 10명 중 4명 꼴(39.8%)은 비정규직입니다. 풀타임 비정규직이 26.4%, 파트타임이 13.4%를 차지했습니다. 비정규직으로 하는 일은 박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