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간

항바이러스제의 내성 약제내성은 간단히 말해 먹던 약이 더 이상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더 고용량이 필요할 수도 있고 다른 약으로 바꾸어야할 수도 있습니다.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는 약에 따라 내성률에 차이가 있을 뿐 모두 내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 어떤 이유로 내성.. 더보기
B형간염의 전염과 예방(수직감염) 어떤 경로로 B형간염에 감염되나요? B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정액, 타액 및 기타 체액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간염 바이러스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으로 다른 사람의 체액에 노출될 때 체액으로부터 전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성적인 접촉 또는 손상된 피부(상처 부위), .. 더보기
B형간염의 자연경과 B형간염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들어오면 통상 3단계(또는 4단계)를 거칩니다. 이것은 B형간염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면역관용기 - 면역제거기 - 비증식기 - 재활성화” 그림. 만성B형간염 4단계 ▣ 면역관용기 Immune Tolerance Phase (증식 B형간염바이러스 보유 시기) 어렸.. 더보기
급성B형간염과 만성B형간염 급성B형간염은 최근에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한 간염을 말합니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고 6개월이 지나도록 HBsAg이 음성이 되지 않으면 만성B형간염보유자가 되었다고 봅니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일부는 만성B형간염보유자가 됩니다. 만성화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환.. 더보기
B형간염, B형간염바이러스와 관련된 검사들 B형간염 B형간염은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가 일으키는 간염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만성B형간염바이러스보유자'(이하 'B형간염보유자')는 2005년 현재 전체인구의 3.7%입니다. 80년대의 약 10%, 2001년 4.5%에 비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 더보기
간질환과 식생활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슨 병이 있다는 걸 알게 되면 제일 먼저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뭘 먹어야 좋을까, 또 뭘 피해서 먹어야할까'인가 봅니다. 병에 걸렸을 때 좋은, 해로운 음식을 찾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생각입니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대부분 환자를 소외시킵니다. 내가 뭘 해서 치료가 .. 더보기
간질환과 운동 생활습관은 간질환의 정도에 따라 지켜야할 기준이 다릅니다. '간에 좋은 운동'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 적절한 운동'이 있을 뿐입니다. 예전에는 간이 좋지 않으면 푹 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적절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이 간 건강에도 더 좋다는 것이 간전문의들의 공통적인 생각입니.. 더보기
간경변증의 증상과 치료 앞에서 '간이 하는 일'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이 '간이 하는 일'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탄수화물 대사, 단백질 대사, 지질의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작용, 알코올의 대사, 해독작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치료는 어떻게 하게 되나요? 간섬유화와 간경변증은 정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