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日 대지진으로 아시아 인플레이션 심화" - WSJ

일본의 대지진과 방사능 유출이 이미 심각한 아시아 지역의 인플레이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 보도했다.

3ㆍ11 대지진으로 글로벌 기업의 공급 사슬(Supply chain)에 차질이 빚어지고, 일본의 원자재와 식품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아시아 지역의 물가는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전 세계가 높은 유가와 상품 가격에 신음하고 있지만, 일본과 긴밀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는 아시아 신흥국은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다고 WSJ는 전했다.

이런 우려는 아시아 지역의 각종 물가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아시아 최대 메모리칩 현물 시장인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휴대전화, 노트북,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D램 마이크로칩 가격은 공급차질 우려가 커지며 지난달 11일 이후 8% 상승했다. 일본이 원자력 대신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용한 전력 공급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따라 아시아 시장에서 LNG 가격은 10~20% 급등했다. 일본의 지진 피해 재건 노력에 대량의 목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말레이시아에서 벌목업체의 주가는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소시에테 제네랄의 글렌 맥과이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에서 공급 사슬 문제는 항상 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며 "2000년 Y2K 사태, 2003년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포함해 지난 10년간 공급 사슬에 문제가 생겼던 때에는 소비자와 생산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미 아시아 신흥국의 물가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라는 것이다. 3ㆍ11 대지진 발생 이전부터 이 지역 중앙은행들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에 돌입했다. 최근 대만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125%P 인상, 통화정책회의에서 네 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높였다. 인도와 필리핀도 대지진 이후 긴축적 통화 정책을 강화했고, 태국과 말레이시아도 유사한 행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도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식품 가격이다. 일본에서 이번 대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지역은 전국 쌀 생산의 20% 를 차지하는 곳이었다. 쓰나미와 원전 사고에 따른 방사능 유출은 일본의 농작물 생산에 타격을 줄 수 밖에 없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일본의 식품 수입 의존도는 식품 열량을 기준으로 59%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