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간

만성간염의 활성도 (grading) 와 섬유화(stage) 챠트

[표 1] 만성간염의 활성도(Grading of chronic hepatitis)

활성도

간소엽 활성

(Lobular activity)

문맥역/문맥주변부 활성

(Porto-periportal activity)

 

괴사 없음

(No necrosis)

경한 문맥역 염증 이하

(<mild portal inflammation)

최소

(Minimal)

동모양 혈관의 림프구 침윤 또는 1개 이하 국소괴사(100배 시야)

(Sinusoidal lymphocytosis +/- or less necrosis per 10 x objective field)

경한 염증 또는 소수 문맥역의 미약한 조직괴사

(<mild portal inflammation +/- focal PMN in a few portal tracts)

경도

(Mild)

2-5개 괴사

(2-5 necrosis

perl0×objective field)

소수나 대부분의 문맥역이 국소적인직괴사 보일 때 또는 소수의 문맥역이 둘레의 50% 이하 조직 괴사

(PMN, focal in some or most portal tracts, or PMN, around<50% in a few portal tracts)

 

 

 

 

 

 

중등도

(Moderate)

6-10개 괴사

(6-10 necrosis

perl0×objective field)

대부분의 문맥역이 50% 이하 조직 괴사 또는 가교상 괴사

(PMN, around<50% in most portal tracts, or PMN, around>50% in a few or some portal tracts)

고도

(Severe)

10개 이상 괴사 또는 융합괴사

(More than 10 necrosis perl0×objective field or confluent necrosis(zone3))

대부분의 문맥역이 50% 이상 조직 괴사 또는 가교상 괴사 (PMN, around>50% in most portal tracts/septal surfaces, or bridging necrosis)

[표 2] 만성간염의 섬유화(staging of chronic hepatitis)

진 단

점수

정 의

섬유화없음

(no fibrosis)

0

정상

문맥역섬유화

(portal fibrosis)

1

섬유화에 의한 문맥역 확장

문맥주변부 섬유화

(periportal fibrosis)

2

섬유화가 문맥역을 넘어 간소엽 내로 뻗어가거나 또는 드물게 문맥-문맥가교상 섬유화가 있을 때(간소엽의 정상구조 유지)

섬유성 격막

(septal fibrosis)

3

문맥역과 주위 문맥이나 말단 세정맥을 연결하는 가교상 섬유화가 있을때(간소엽의 정상 구조 파괴)

간경변증

(cirrhosis)

4

재생결절이 광범위하게 형성

 

간생검에서 중등도 이상의 염증괴사 소견이나 문맥주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개시를 권고.

 

2008년도 2월 개정안 입니다. 간염에 따른 급수 판단방법입니다

 

염(항목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낮은 급수로 판정한다)

가. 급성(현증) 또는 경과관찰이 필요한 경우 (7급)

나. 건강 보균자(HBsAg양성이거나 HCV-Ab양성 또는 HCV-RNA양성이고, 간기능이 정상거나 조직검사상 간염 활성지수가 최소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3급)

다. 현재 HBsAg양성이고, HBeAg 양성 혹은 HBV-DNA의 상승이 확인되면서 혈액 생화학 검사(징병검사의 경우에는 병무청에서 실시한 혈액검사를 말한다)상

(1) 6개월 이내의 기간 동안 3회 시행한 ALT가 지속적으로 100 IU/L 이상인 경우 (5급)

(2) (1)이 아니면서 6개월 이내의 기간동안 3회 시행한 ALT가 지속적으로 정상 상한치보다 높은 경우 (4급)

라. HCV-Ab가 양성이고, HCV-RNA양성이면서, 6개월 이내의 기간동안 3회 이상 ALT가 정상 상한치보다 높은 경우(징병검사의 경우에는 병무청에서 실시한 혈액검사를 말한다) (5급)

마. 타당한 적응에 의하여 항바이러스 치료 중이거나 치료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 (4급)

바.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만성간염

대한병리학회의 만성간염의 등급체계 [표 1] 및 [표 2]따른 분류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중복하여 해당되는 경우 높은 급수로 판정한다.

(1) [표 1]의 간염활성도(lobular or porto-periportal activity)가 중등도(moderate) 이상 (5급)

(2) [표 1]의 간염활성도가 경도(mild) (4급)

(3) [표 2]의 섬유화 점수가 2(periportal fibrosis) 이상 (5급)

(4) [표 2]의 섬유화 점수가 1(portal fibrosis) (4급)

 

괄호안 각각의 급수는 징병검사 기준입니다.

'건강 > 건강-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공부  (0) 2011.03.27
간경화 증상과 간에 좋은 음식  (0) 2011.03.27
간이식, 그 무모한 모험의 애끓는 종말  (0) 2011.03.21
ALT-정상범위: 40u/l 이하  (0) 2011.03.21
간 수치 - AST 35 & ALT 40  (0) 201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