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국민 55%가 '국장'보다 '미장' 택했다… 5大 이유는

 

 

 

 

입력 2025.02.23.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연합뉴스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를 뜻하는 ‘서학개미’의 미국 주식 보관액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0억달러(약 144조원)를 돌파하는 등 소위 미장(美場·미국 주식시장)의 인기 이유가 ‘기업의 혁신성’ 때문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민 1505명을 대상으로 ‘한·미 자본시장에 대한 인식’ 관련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어느 시장을 선호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4.5%는 미국 증시를, 23.1%는 국내 증시를 좋아한다고 답했다.

 

 

미국 증시 투자의 이유로는 기업의 혁신성·수익성(27.2%)을 첫 손에 꼽았다. 이어 활발한 주주환원(21.3%), 국내 증시 침체(17.5%), 미국 경제 호황(15.4%), 투명한 기업 지배구조(14.8%) 등의 순이었다. 이런 이유를 토대로 응답자 79%는 미국 주가가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응답자들이 국내 증시가 활성화되지 않은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 역시 ‘국내 기업의 혁신성 정체’(34.6%)였다. 미국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첨단 반도체, 스마트폰, 콘텐츠 등 각 산업을 혁신적으로 주도하면서 주가 역시 빠르게 뛰는데 한국 기업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어 규제 중심의 기업·금융 정책(23.6%), 단기적 투자 문화(17.5%), 지배구조와 주주환원 미흡(15.4%) 등도 국내 증시 부진의 이유로 들었다.

 

 

대한상의 강석구 조사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자본시장의 밸류업을 새로운 규제 도입이 아니라 기업의 혁신 성장을 촉진하고, 그런 혁신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늘리는 방식으로 해야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