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qaDaA/btrlxLhrGHc/Juc2YFgdnwOFGuxyB7smKK/img.jpg)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8일 OECD 회원국 25∼34세 초대졸자 이상 학력 소유자들의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초대졸 이상 청년 고용률은 75.2%로 OECD 평균(82.9%)을 밑돌았다.
한국 고학력 고용률이 낮은 건 취업준비생 등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아서다. 한국 청년 대졸자의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은 20.3%로 OECD 37개국 중 이탈리아(24.9%), 체코(21.7%)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청년 대졸자 비경제활동인구 10명 중 3명은 취업준비생이고, 10명 중 2명은 그냥 쉬고 있다고 답했다.
김용춘 한경연 고용정책팀장은 “미국 스탠포드대 컴퓨터공학과 정원이 2008년 141명에서 지난해 745명으로 5배 넘게 늘어나는 동안 서울대 컴퓨터공학부는 같은 기간 정원이 55명에서 70명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며 “산업 구조 변화에 맞는 전공이 늘어나야 하지만, 대학 정원 규제 탓에 대학들이 체질 개선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졸자는 연평균 3.0%씩 증가한 반면, 고학력 일자리는 1.3%씩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경연 측은 산업 구조 변화와 경기침체 등에 따라 향후 3년 안에 청년 대졸자 일자리가 34만6000명이 일자리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화로 ‘적자 인생’ 시작 60세로 늦춰졌다··· 44세 최대 흑자 (0) | 2021.11.26 |
---|---|
`천지개벽` 연신내, GTX·재개발 호재 영향 [홍헌표 기자의 헌 집, 새 집] (0) | 2021.11.25 |
서울 대형 아파트, 文정부서 10억 올랐다…“‘똘똘한 한 채’ 영향” (0) | 2021.11.19 |
종부세 쇼크에… 신반포 15차·21차 주민들 ‘1+1재건축’ 철회 (새로 받는 주택 중 1채는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이어야 하고, 3년 이내에 처분할 수 없다) (0) | 2021.11.17 |
금융자산 10억 넘는 한국부자 40만명, 1년새 11% 늘었다 (0) | 202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