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1.03.19 00:50 | 수정 2021.03.19 00:50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19일 작년 12월 새로 임용됐거나 퇴직한 전·현직 고위 공직자 103명 재산 신고 내용을 관보에 게재했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이용구 법무차관, 신현수 전 민정수석,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39억1000만원 재산을 신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퇴임 후인 2019년 12월(30억9000만원)보다 8억2000만원 늘어났다. 유 실장은 기존에 보유했던 서울 송파구 아파트를 팔고 같은 동네의 더 넓은 평형의 주상복합 아파트(14억6000만원)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배우자 명의였던 경기도 양평 단독주택(2억3000만원)을 장녀에게 증여, 장녀가 2주택자가 됐다. 유 실장은 자신이 부사장을 지낸 LG CNS 비상장 주식 1만2642주(1억7900만원)와 경기 양평 일대에 3억원 상당의 땅 3533㎡(약 1068평)도 보유 중이다.
택시기사 폭행 논란을 빚었던 이용구 법무부 차관은 서초구 서초동 아파트(15억2000만원) 등 총 재산이 50억6000만원이라고 신고했다. 이번 공개자 중 재산 3위였다. 차량은 독일 아우디 등 3대를 보유했다. 이 차관은 강남구 도곡동 아파트(10억3000만원)에 대해선 작년 12월 매매 계약을 체결, 지난달 26일 자로 소유권이 이전됐다고 적어 냈다.
신현수 전 민정수석은 51억2000만원을 신고했다. 배우자의 서울 강남구 아파트(18억5000만원)와 부부 공동 명의 용산구 아파트 전세권(11억8000만원) 등 건물 재산이 약 40억원이었다. 종합편성채널인 채널에이 비상장주식 2000주(1000만원)도 보유했다. 신 전 수석은 이달 공개자 중 진영 전 행정안전부 장관(87억1000만원)에 이어 둘째로 재산이 많았다.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2주택 정리 과정에서 논란을 빚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과 충북 청주 아파트를 모두 매각, 무주택 상태로 나타났다. 청주 복대동 아파트 전세권(3억9000만원)을 보유했다. 노 전 실장의 재산은 30억4900만원으로, 직전 신고(재작년 12월)보다 6억2900만원 늘었다. 부동산 매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노 전 실장은 지난해 국회 운영위에 출석, 반포동 아파트 매각으로 8억원대 시세 차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야당이 ‘똘똘한 한 채'라고 지적하자 “그렇게 똘똘하지 않다”고 했었다.
정부의 다주택 매각 지침에도 아직 2주택을 보유한 공직자도 있었다. 장영태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은 서울 강남구 세곡동과 수서동 아파트(8억1000만원·8억3000만원)를, 김일환 한국도로공사 부사장은 서울 잠실동과 경기 판교 아파트(10억2000만원·7억6000만원)를 신고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이인원(李仁源) (0) | 2021.04.01 |
---|---|
단독주택도 ‘공시가 쇼크’… 서울 평균 10% 뛰어 稅부담 커져 (0) | 2021.03.20 |
2014.07.05 정두언의원: 아빠가 딸에게 불러주는 결혼식 축가(이 믿음 더욱 굳세라) (0) | 2021.03.15 |
"고양시" 이름의 유래가 된 두 산 (고봉산 + 덕양산 또는 행주산성) (0) | 2021.03.15 |
고양시(군)의 옛 행정구역(1930년)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