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지혜/교육

아이의 재능은 부모의 관심에서 자란다

또래보다 한글을 빨리 깨우치고 거기에 영어까지 곧잘 한다거나, 한번 들은 음악을 금세 흥얼거리는 우리아이. 그런 아이의 모습을 보고, ‘혹시 우리 아이가 영재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 그러다 아이의 지능지수가 평균치인 것을 확인하곤 실망하기도 하고요.

예전에는 공부 잘하는 아이, 지능지수가 높은 아이들을 위주로 영재라고 칭했다면, 요즘은 창의적인 아이, 운동신경이 뛰어난 아이, 예술적 재능이 있는 아이 등 다양한 분야에 재능을 가진 아이들을 영재라 칭합니다. 이런 우리아이의 재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아이의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는 부모의 관심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잠재력을 확인했다면 지속적이고 적절한 교육을 통해 아이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합니다.


기사 이미지

아이가 자신의 방 그리고 책상에 애착을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재능과 꿈이 학교와 학원에서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방에서 스스로 자라날 수 있도록 부모가 환경을 만들어주고 아이의 꿈을 지지해주어야 합니다.
SBS 영재발굴단 프로그램에 출연한 다양한 분야의 영재아이들과 영재부모님의 사례를 통해 우리아이의 재능을 키워주는 방법을 같이 고민해보시죠.


기사 이미지

<SBS 영재발굴단 ‘미술영재’ 김민찬군>
“민찬이 아빠와 저는 민찬이가 보고 싶어 하는 것, 느끼고 싶어 하는 것을 이룰 수 있게 노력해요.”
학원, 미술교육기관에 다닌 적이 없다는 김민찬군은 두 돌부터 혼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총 200여점의 그림과 자기 몸의 4배가 넘는 캔버스 작업까지 하는 등 방송을 보는 많은 이들을 놀라게 하였는데요. 


기사 이미지

김민찬군 부모님은 아이가 새벽에 바다가 보고 싶다고 하면 데려가는 등 아이가 하고 싶어하는 것을 이루게 해주고 억지로 하기 싫은 것을 강요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기사 이미지

그리고 아이방이 잠을 자고 공부만 하는 단순한 공간이 아닌, 아이의 상상력을 끌어내고 재능을 맘껏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책상을 숙제하고 공부만 하는 곳이 아닌, 자신의 작은 놀이터로 생각하게 하는 것이죠.
마음으로 그리는 미술영재 민찬이의 그림을 보면서 많은 이들이 감동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민찬이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것을 키워주기 위해 뒷받침을 해준 부모님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기사 이미지

<SBS 영재발굴단 ‘언어, 바이올린영재’ 안세윤양>
“아이가 자기방을 좋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해요.”
언어, 바이올린 영재로 출연한 안세윤양 어머니는 예전엔 아이가 많은 학원에 다니느라 지쳐서 자칫 재능들을 잃을까 봐 걱정이었다고 합니다. 학원을 줄이고 대신, 아이가 좋아하는 역할놀이, 종이접기, 영어영상보기, 바이올린 연주 등을 아이방에서 할 수 있게 하여주었더니 아이가 너무 행복해하는 것이 보였다고 해요.


기사 이미지

세윤이가 좋아하는 바이올린 연주와 영어영상보기도 다 책상에서 하는 세윤이는 집에서 자기방을 제일 좋아한답니다. 

“전 이 조명이 제일 좋아요! 노란색 조명이요. 따뜻한 느낌이 들어요!”


기사 이미지

세윤이는 자기방에서 특히 책상을 좋아합니다. 세윤이가 가장 마음에 들어한 조명은 상상력을 자극해주는 창의영역 온도였습니다. 색온도 조절기능이 있는 책상은 학습영역에 맞춰서 색온도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아이의 집중력과 시력보호에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영재발굴단 방송에서 많은 학원 스케줄로 살짝 눈물을 보이기도 했던 세윤이는 자신의 방에서 스스로 꿈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세윤이를 제일 잘 아는 엄마의 지지 속에서 말이죠.


기사 이미지

<SBS 영재발굴단 ‘과학영재’ 홍준수군>
“자세가 정말 중요해요.”
과학영재 준수는 책상보단 바닥이나 쇼파에서 항상 구부정하게 책을 봐서 성장과 집중력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었다고 말하는 준수어머님. 심지어 구부정하게 볼 바엔 차라리 엎드려서 보라고 말할 정도였다고 하니 얼마나 고민이 많으셨는지 알 수 있지요. 집에서 이미 각도조절 책상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아이가 쓰기엔 사이즈가 크고 사용법이 어려워서 준수는 책상에 잘 앉지 않으려 했다고 합니다.


기사 이미지

준수에게 딱 맞는 사이즈의 책상을 사준 후에, 처음 책상에 앉았는데 꼬박 2시간 동안 책을 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는 준수 어머니. 아이들은 그냥 주어진 환경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바른 학습습관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신학기를 앞두고 아이집중력 향상을 위해 자세를 교정해주는 제품들이 불티나게 팔린다고 하는데요. 청소년기의 잘못된 자세는 신체의 불균형을 가져와, 또 다른 질병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차적으로 소화기, 순환기 기타 내부 장기들의 비활성화로 이어져 만성 부비동염, 감기, 천식, 위장장애, 소화장애 등의 질환이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아이가 성장할수록 제일 오래 머무르는 책상의 선택은 더욱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천재는 선천적인 능력에 따라 결정이 되지만, 영재는 아이의 재능을 키워주는 노력과 경험에 따라 충분히 부여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의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내고 키워나갈 수 있는 환경과 관심, 아이의 꿈에 대한 부모의 지지와 응원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아이의 꿈이 자라나는 곳은 학원이 아니라 우리집, 아이의 방이 될 수 있도록 해주시는 건 어떨까요?

자료제공: 한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