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지혜/교육

70년대 토목, 90년대 전자, 지금은 의대… 시대별 쏠림 현상의 원인은 이수형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경제 데이터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해, 경제와 사회의 갖가지 움직임 사이의 인과관계를 찾는 ‘응용 계량 경제학자’다. 원인과 결과가 얼마나 얽혀 있는지 밝혀내 각종 경제·사회 문제에 대한 효과적 해법도 찾는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자녀 교육이나 교육 정책과 관련된 여러 문제도 데이터 분석으로 효율적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증거에 기반한 정책 결정(EBPM, Evidence-based Policy Making)’ 모델이 이 교수가 생각하는 유력한 방법 중 하나다. 이 교수는 2021년 구글이 운영하는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경진 대회인 ‘캐글’ 데이터 분석 대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하기도 했는데, 당시 대회 주제가 코로나.. 더보기
[사설] 세상 변화는 ‘빛의 속도’ 대학 시계는 30년 전, 청년들에게 못할 짓 한다 조선일보 입력 2021.09.07 03:26 1991년 서울대 인문대는 15개 학과로 구성돼 있었다. 30년이 지난 지금 아시아언어문명학부가 하나 추가됐을 뿐 그때 있던 학과 15개가 그대로다. 사회대는 30년 전 11개 학과였는데 그중 정치학과·외교학과가 정치외교학부로, 경제학과·국제경제학과가 경제학부로 통합되고 신문학과가 언론정보학과로 이름을 바꿨을 뿐이다. 30년 전 19개 학과로 구성됐던 공과대학 역시 유사 학과들이 6개 학부로 묶였을 뿐 크게 달라졌다고 보기 힘들다. 30년 동안 세상은 강산이 30번 바뀌었다는 말로도 부족할 만큼 급변했다.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 혁명에 국가와 사회, 각 가족과 개인의 명운이 달린 세상으로 하루가 다르게 달려가고 있다. 자고 나면 달라지는 산업 지형에 .. 더보기
만만하게 보이지 않는 인간관계를 위해 필요한 '이것' (장성숙 교수님) youtu.be/F7DFMmITJ00 더보기
부모의 착각이 아이 '진짜 공부' 방해한다 ‘나는 누구일까’ 미국 교포인 리사 손(47) 교수가 어린 시절 자주 부딪혔던 고민이다. 자신이 완벽한 미국인도, 한국인도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은 학부에서 신경과학을 전공한 그를 ‘메타인지’로 이끌었다. 메타인지는 자신이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스스로 평가하고 이를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자기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이다. 메타인지를 접한 그는 어린 시절 겪은 수많은 시행착오가 결국 자신의 메타인지를 향상시킨 원동력이었음을 깨달았다. 미국 컬럼비아대 바너드칼리지에서 심리학을 가르치는 손 교수는 지난 25년간 메타인지 연구에 몰두해왔다. ◇메타인지 성장을 방해하는 부모 손 교수가 국내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진 건 지난 2013년 교수·전문가 장학 프로그램인 한국 풀브라이트 학자.. 더보기
코딩 배우려는 학생 밀려드는데 교수·강의실 부족하다며…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수강 제한 입력 2019.01.29 03:01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 대학이 학생 수요 못 따라가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가 오는 3월 개강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강의에 대해 다른 과 학생의 수강을 제한하기로 했다. 수강 신청자는 많은데 강사·강의실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으.. 더보기
아이의 재능은 부모의 관심에서 자란다 또래보다 한글을 빨리 깨우치고 거기에 영어까지 곧잘 한다거나, 한번 들은 음악을 금세 흥얼거리는 우리아이. 그런 아이의 모습을 보고, ‘혹시 우리 아이가 영재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 그러다 아이의 지능지수가 평균치인 것을 확인하곤 실망하기도 하고요... 더보기
내 아이가 세계 최고 석학의 자녀로 태어났다면? 입력 : 2017.09.23 19:17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교육정책을 담당한 교육가, 28살의 나이에 하버드 로스쿨 최연소 교수가 된 변호사, 맨손으로 시작해 5개 기업을 설립하며 2억 달러의 가치를 만들어낸 자수성가 기업가 등 세계 최고 석학과 리더들, 그들이 자녀를 교육한 방법은? 만약 내.. 더보기
'SW 존재감 제로 한국'의 진짜 문제점 입력 : 2017.07.15 08:00 [On the IT] ▲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 IT 강국 대한민국, 지난 20년간 우리는 이 수식어를 진실로 받아들여 왔다. IT 인프라에 있어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다. 세계 어디에도 우리나라처럼 빠른 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 그러나 글로벌 IT 기업으로 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