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

고학력자도 못뚫는 취업난… 박사 5명 중 1명은 실업자

최근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5명 중 1명은 실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수도권 대학 박사보다 수도권 대학 박사들의 실업률이 더 높았고, 인문계열 박사보다 자연계열 박사들이 취업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취득자 조사 결과 올해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들 중 미취업자는 22.9%로 나타났다. 박사학위 취득자 중 미취업자 비율은 첫 조사인 2014년 21.3%를 기록했고, 이후 2015년 20.3%로 소폭 줄었다가 2016년 21.6%로 다시 증가했다.

올해 기준 조사 당시 직장이 있는 박사는 43.4%였고, 취업이 확정된 박사는 30.9%였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박사는 2.8%였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 박사의 미취업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미취업 남성 박사의 비율은 21.2%였지만, 미취업 여성 박사는 25.9%로 4.7%포인트 더 높았다.

미취업자 비중은 나이가 젊을수록 높았다. 30세 미만 미취업자는 35.4%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이어 30~34세가 32.9%, 35~39세가 26.2%, 40~44세가 14.3%, 45~49세가 11.6%, 50세 이상이 12.9%였다.

전공 계열로 나눠보면 자연과 공학계열의 미취업률이 예체능이나 사회계열보다 높았다. 미취업자 비율이 가장 높은 계열은 자연계열로, 전체 박사학위 취득자의 29.7%가 미취업 상태였다. 이 외에는 인문(28.4%), 공학(26.1%), 예술·체육(22.3%), 교육·사범(20.6%), 사회(18.3%), 의약(11.8%) 순이었다.

학위 취득 대학의 소재지별로 보면, 수도권 박사가 비수도권 박사보다 미취업률이 높았다. 비수도권 소재 대학에 서 박사학위를 딴 이들의 미취업률은 21.5%인 반면, 수도권 박사의 미취업률은 24.1%였다. 수도권 박사의 미취업률은 2015년 20.1%, 지난해 22.5%에서 올해 급격히 증가했다.

해외로 나가려는 박사의 비중은 다소 늘었다. 향후 거주지를 묻는 문항에 한국이 아닌 해외에 거주하겠다는 답변의 비율은 13.2%로, 지난해 12.2%에서 소폭 증가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2/201711220076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