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4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을 낸 후의 순소득은 스위스·노르웨이·룩셈부르크·호주·네덜란드에 이은 6위로 나타났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세금 부담률이 5%로 칠레(0%)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6일 OECD가 펴낸 ‘2015 임금 과세(Taxing Wages)’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환산한 한국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하 1인가구 기준)은 4만6664달러(5046만원)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보다 한 단계 높은 일본의 4만6884달러(5070만원)와 15위 스웨덴의 4만6379달러(5015만원)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4만770달러(4409만원)으로 조사됐다.
스위스가 6만6506달러(7192만원)로 1위, 룩셈부르크(6만158달러), 노르웨이(5만9355달러), 네덜란드(5만9280달러)가 2~4위를 차지했다. 5만 달러가 넘는 국가로는 독일·벨기에·호주·덴마크·영국·오스트리아·미국·아이슬란드 등으로 집계됐다.
핀란드·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스페인 등 20개 국은 한국보다 평균 임금이 적었으며 멕시코가 1만2373달러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세금을 낸 후의 순소득은 한국이 4만421달러(4371만원)로 세전 임금이 많은 영국·미국·일본을 제쳤다. 일본은 세후 소득이 3만6691달러(3968만원)로 한국보다 403만원 가량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세 격차(tax wedge)도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하위권을 차지했다. 조세 격차는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중 소득세와 국민연금·건강·고용보험 등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국의 조세 격차는 21.5%로 30위를 차지했다.
한국보다 조세 격차가 작은 나라는 칠레(7.0%), 뉴질랜드(17.2%), 멕시코(19.5%), 이스라엘(20.5%) 등 4개국뿐이었으며 벨기에(55.6%)가 가장 컸다.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뒷방 高手를 현장으로… 국민銀 임금피크제 실험 (0) | 2015.05.15 |
---|---|
[반퇴 시대] 55 ~ 59세 평균 월급 228만원인데 … 한 살 더 먹으면 147만원 (0) | 2015.05.07 |
공무원연금 수령나이 (0) | 2015.05.07 |
공무원연금,개혁논란 (0) | 2015.05.06 |
2009년말 이전 임용 공무원 94만명, 연금 수령 61세 이후로 늦추기로 (0) | 201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