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늉이나 케이크 다음 샐러드 먹고 밥·고기를… 급히 먹지 않게 되고 식사량 조절하기 쉬워져
식습관의 변화가 건강 생활의 출발이다. 그 첫 단추는 음식 먹는 순서를 바꿔보는 것이다. 식사할 때 맨 마지막에 먹는 디저트부터 시작하라고 권한다. 주식(메인)을 맨 나중에 먹으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물이나 차나 숭늉부터 한 잔 마신다. 이어 과일이나 케이크를 먹고, 다음엔 샐러드나 샐러드성 나물을 밥그릇 하나 크기로 먹는다. 이어서 싱거운 반찬을 골고루 먹은 뒤 서서히 포만감이 느껴지면 밥, 고기, 생선 같은 주식을 먹으라.
식사 한 시간 전쯤에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구마, 바나나, 사과, 한천 같은 것을 전식(前食)으로 먹으면 더욱 좋다. 이렇게 먹으면 시장기 때문에 급하게 음식을 먹지 않게 되고, 먹는 양을 스스로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 '30-30' 룰을 지키면 더 좋다. 한입에 30번씩 씹고, 한 끼에 30분씩 먹으라는 것이다. 인간의 침에는 소화제, 살균제, 면역제, 항암제가 모두 들어 있다. 한술 떠먹은 뒤 숟가락을 놓으면 30번 씹는 데 도움이 된다. 또 국에 밥을 말아 먹지 말고, 밥이 넘어간 뒤에 국을 먹으라.
앞에 이야기한 식습관들만 실천해도 뇌 혈류와 세로토닌이 증가하고, 다이어트에도 성공할 수 있다.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구팔팔 필수 조건은 관절·혈관 건강 (0) | 2015.03.17 |
---|---|
[이시형의 CEO 건강법] (3) 다이어트, 1주 단위로 (0) | 2015.02.02 |
[이시형의 CEO 건강법] ⑧ 밤 11시 이전에 자고 오전 6시 이전에 깨라 (0) | 2015.02.02 |
조킹(Joking)을 하라 (0) | 2015.02.02 |
6초 내쉬고 3초 들이쉬고 호흡만으로 두통 없앤다 (0) | 201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