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10.03 03:06
평생 가장 많은 돈을 벌어다 줄 것으로 조사된 전공은 화학공학으로, 취직 후 은퇴까지 40여년간 211만달러(약 22억원)를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항공우주공학(206만달러)·에너지공학(203만달러) 순으로 상위 1~10위가 모두 공대 계열이었으며, 80개 전공 평균치(119만달러)를 훨씬 웃돌았다. 상위 20개 중 이공계가 아닌 전공은 물류학(164만달러), 경제학(157만달러), 회계학(156만달러) 등 3개뿐이었다.
반면 평생 소득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된 전공은 유아교육(77만달러)이었으며, 소비자가정학(81만달러)과 신학(82만달러) 등도 '돈 벌기 어려운 전공'으로 조사됐다. 실용주의 전통의 미국 사회는 이런 흐름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여러 공학 전공 중에서도 화학공학이 1위를 차지한 것은, 전공 분야와 직결되는 글로벌 거대 기업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지난 7월 발표된 미 경제전문지 포천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 상위 10곳 중 5곳이 로열더치셸·엑손모빌 등 화학공학 전공자들이 대거 일하는 석유회사들이었다. 전공과 연관성이 있는 에너지·반도체 등의 분야로 취업하거나 실리콘밸리에서 벤처기업을 일궈 성공한 화학공학도들도 적지 않다. 잭 웰치 전 GE 회장과 앤드루 그로브 전 인텔 회장도 화공과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한국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들이 불평등에 둔감한 몇 가지 이유 (0) | 2014.10.16 |
---|---|
미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주는 뉴햄프셔 & 미네소타 (0) | 2014.10.11 |
흑백 인종차별 심했던 미국 남부 1955년, 백인에게 자리 양보 안 한 '로자' (0) | 2014.04.06 |
시중은행 PB "美 영주권 시민권자 FATCA 관련 문의 늘어" (0) | 2014.03.23 |
The real identity of the 18-year-old student who has caused a nationwide uproar and family heartache is Miriam Weeks (0) | 201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