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은퇴자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은퇴 전 소득은 400만원, 은퇴 후는 238만원
우리나라 중장년층은 은퇴 직전 소득의 60%로 퇴직 후 가계를 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은 5대 광역시 거주 은퇴자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퇴직 후 은퇴 직전 평균 소득(400만원)의 60% 수준인 238만원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은퇴가구가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식비였다. 응답자들은 월평균 50만원을 식비로 사용하고, 매달 월세와 관리비 등 주거비로 20만원, 경조사비로 13만원, 보건의료비와 여가비로 각각 10만원씩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은퇴가구의 평균 총 자산은 4억2500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85%, 금융자산의 비율은 11.8%였다.
하지만 은퇴자들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 자산을 처분해 노후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삼성생명은 “주택에 대한 국민 정서 등을 감안할 때 위험회피 성향이 강한 노년기에 부동산을 처분해 이자소득을 얻고자 하는 선택을 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삼성생명은 5대 광역시 거주 은퇴자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퇴직 후 은퇴 직전 평균 소득(400만원)의 60% 수준인 238만원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은퇴가구가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식비였다. 응답자들은 월평균 50만원을 식비로 사용하고, 매달 월세와 관리비 등 주거비로 20만원, 경조사비로 13만원, 보건의료비와 여가비로 각각 10만원씩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은퇴가구의 평균 총 자산은 4억2500만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85%, 금융자산의 비율은 11.8%였다.
하지만 은퇴자들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 자산을 처분해 노후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삼성생명은 “주택에 대한 국민 정서 등을 감안할 때 위험회피 성향이 강한 노년기에 부동산을 처분해 이자소득을 얻고자 하는 선택을 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後자금 알차게 모은 중산층 980명의 7가지 충고 (0) | 2014.09.15 |
---|---|
밭 한 뙈기 없이 연 4억 캐는 양평 농부 (0) | 2014.09.12 |
[박정호의 사람 풍경] 나무에 빠진 곽수일 서울대 명예교수 (0) | 2014.07.06 |
[71세까지 일하는 한국인… 못 쉬는 퇴직자 갈수록 늘어] (0) | 2014.06.03 |
가장 오래 돈 벌어야 사는 韓國人… 정년퇴직해도 '실질 은퇴'는 71세 (0) | 201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