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려 박사님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슈바이처는 기억하지만, 그에 못지 않은 봉사의 삶을 살았던 의사 장기려는 큰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장기려 선생님은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6.25 등 혼돈의 역사 속에서 봉사의 삶을 사신 분입니다.
장기려 박사님이 의사가 되기로 마음 먹었던 일제 당시에는 일본 의사와 조선 의사들간에도 차별이 존재했습니다. 또한 환자 역시 차별을 받던 시대입니다. 일전에 우리나라 기생충 역사를 리뷰하면서 영흥에미친사건에 대해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 1927년 일제 시대에는 폐흡충감염 집단치료로 일본인 의사가 환자 연령, 나이, 질병 경중을 세심히 가리지 않고 에메친(emetine)을 투약해 6명의 한국인 사망자가 생겼다고 합니다. 그냥 묻힐 뻔한 이 사건은 한국인 의사로 구성된 한성 의사회가 이를 규탄하고 진상조사를 하라고 총독부를 압박하게 됩니다.
장기려 박사는 이 영흥에미친사건과 의사가 없어 진료를 보지 못하고 죽어가는 환자를 보며 의사가 되기로 결심합니다. 경성의전(서울대 의대 전신)을 졸업하고 국내 최초로 간 절제를 성공하는 학문적인 업적을 보였을 뿐 아니라 (대한 간학회에서는 이날을 기념해 10월 20일을 간의 날로 정했음), 자신의 돈으로 환자를 치료하고 무료 진료소를 세우는 등 의사가 되기 전 초심을 잃지 않고 봉사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그 시절 의사가 귀했기에 마음만 먹으면 개업하여 부를 축적할 수도 있었음은 둘째치고 대학의 교수가 되어서도 월급의 대부분을 남을 위해 쓰는 그를 보고 주위 사람들은 '바보의사'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해방 이후 평양에 있던 장기려 박사는 김일성 대학의 교수로 있게 되지만, 전쟁 이후 월남을 하게 되고 부산에 있는 복음병원(고신의료원 전신)에서 봉사를 하게 됩니다. 평생을 무소유의 삶을 살았던 장기려 박사는 가난한 환자들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헌납하는 삶을 살았는데, 하루는 돈이 없는 환자가 퇴원할 수 없게 되자 뒷문을 살짝 열어줬다는 일화는 너무나도 유명합니다.
1968년에는 정부보다 10년 앞서 청십자 의료보험조합을 결성하여 우리나라 의료보험을 앞당기는데 선각자가 되었습니다. '건강할 때 이웃 돕고, 병 났을 때 도움 받자'는 취지로 시작한 민간 최초의 의료보험 기구였던 것이죠. 1979년에는 동양의 노벨상이라고 부르는 '라몬 막사이사이 사회봉사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삶을 보았을 때 이는 당연한 결과였을 것입니다.
노년에는 뇌경색으로 몸이 불편했지만, 도움이 필요한 곳에는 왕진 가방을 들고 어디든 달려가셨다고 합니다. 장기려 선생님은 바보 의사가 아닌 이 땅의 성자라는 칭호도 아깝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려 선생님에 대한 기록은 그렇게 많지도 않고, 그 이름은 널리 알려져 있지도 않습니다. 특히 젊은 시절의 장기려는 역사의 역동기 한가운데 있었고 역사적인 인물들과 함께 있었는데 말이죠.
특히 춘원 이광수가 입원해있을 때 치료를 맡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고 혹자들은 이광수의 <<사랑>>의 주인공 안빈의 모델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장기려 박사님은 저자가 창조해 낸 인물로 본다고 하셨지만 말이죠. 또한 김일성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고 이후에는 월남을 하여 육군 병원에 근무하기도 했습니다. 이후에는 서울의대 교수, 부산의대 교수도 역임하셨으니 이렇게 역동적으로 사신 분이 또 있을까요?
기독교인으로 평생 봉사의 삶은 사셨던 장기려 박사님은 1995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평생을 봉사하며 단칸의 옥탑방도 충분하시다고 말씀하신 장기려 박사님의 삶은 저를 부끄럽게 합니다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을 섬기다 간 사람 장기려 박사의 아름다운 삶 (1911-1995) (0) | 2012.11.26 |
---|---|
'장기려' 박사, 성자 아니면 바보? (0) | 2012.11.26 |
[Why][문갑식의 하드보일드] 농부 된 부총리 "왜 몰랐을까 은둔의 즐거움" (0) | 2012.11.26 |
"하루 2시간씩 자며 학위 지금도 눈감으면 잠들어" (0) | 2012.11.21 |
정년 앞둔 40대 군인, 연금 월300만원인데… (0) | 201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