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탈북자의 북녘추억

황무지 北교화소, 삽만 던져주곤 "알아서 살라"

'북한 인권 기록보존소' 탈북자 1만3000명 조사
정치범 등 강제 구금시설 전국 걸쳐 최소한 480곳

북한 전국에 정치범수용소와 노동단련대 등 최소 480여곳의 각종 감옥과 강제 구금시설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인권단체인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26일 탈북자 1만3000여명의 증언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현재 북한에는 구류장과 노동단련대가 각각 210여곳, 교화소 23곳, 교양소 5곳, 집결소 27곳, 정치범수용소 6곳 등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자유週間은 왔는데… 北 실상 아십니까 - 26일 서울역 앞 광장서 열린‘2011 북한자유주간 서울대회’국민대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정치범 수용소에서 탄압받는 북한 주민들 모습 등이 찍힌 사진들을 들고 서 있다. /이태경 기자 ecaro@chosun.com
북한의 구류장은 한국의 경찰서 유치장과 비슷한 시설로 전국 210여곳의 시·군·구에 1개씩 설치돼 있다. 집결소와 교양소는 북한 형법에는 규정되지 않는 구금시설로 2000년대 이후에는 강제 송환된 탈북자 등을 재판 없이 구금하는 시설이다. 교화소는 국내 교도소와 비슷한 시설로 재판을 거친 기결수가 강제 노동을 하게 된다. 정치범수용소는 최악의 인권 탄압이 벌어지고 있는 곳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요덕·봉창리·함북회령 수용소 등 6곳이다.

1990년대 후반 함흥교화소에 수용됐다는 한 탈북자는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에 500여명을 데려다 놓고 삽을 던져주고 굴을 파서 살라고 강요했다. 많은 사람이 죽어나갔다"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자는 "교화소로 잡혀 온 주민들이 벌판에 볏짚을 깔고 잠을 잤다"고 말했다. 구금시설에서 음식을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수용자들이 각자 농사를 지어 음식물을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스냅샷으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조선닷컴
가축을 키우던 축사를 감옥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2000년대 후반 수감생활을 한 탈북자는 "돼지를 키우던 축사에 벽을 쌓아 교화소로 사용했다", "30명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방에 100명이 넘게 감금됐다"고 말했다.

국가안전보위부 등에서 취조를 받을 때는 일상적으로 심각한 폭행이 자행됐다. 탈북자들은 "발톱이 빠질 정도로 맞았다", "(폭행을 당해) 입술과 코가 터져도 방치됐다"고 말했다. 여성 탈북자는 "집결소에서 지도원에게 성폭행당해 강제 낙태도 했다"고 증언했다.

북한은 이같은 강제 구금시설에 대해 외부 세계에는 거의 공개하지 않거나 거짓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기록보존소는 밝혔다. 북한은 23곳에 달하는 교화소 가운데 3곳만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리원교화소(황해북도), 천내교화소(강원도) 등을 외부에 공개하는 전시용으로 운영하고 있다.

윤여상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소장은 "북한은 '감옥 공화국'이라고 할 정도로 전국에 수많은 수감시설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