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국제통화기금)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종전 전망과 같은 4.5%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종전대로 4.2%를 유지했다.
IMF는 17일 한국 정부와의 정책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글로벌 위기를 극복한 한국 경제는 견고하고 지속가능한 확장세로 전환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수비르 랄 IMF 한국 미션단장은 “한국 경제는 이미 자생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IMF는 “최근의 경제활동의 둔화는 올해 하반기에는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성장 모멘텀이 재현되고 수출과 국내수요가 뒷받침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F는 한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로 ▲유럽의 재정불안 ▲선진국의 대외 수요 감소 ▲북한과의 지정학적 긴장 등을 언급했다. 국내 경제 리스크로는 ▲ 건설분야의 지속적인 약세 ▲예상보다 높은 물가상승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거론했다.
IMF는 최근 정부가 물가상승 억제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통화정책이 여전히 경제상황에 비해 느슨한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IMF는 “연착륙을 위해서는 더 꾸준한 통화 긴축정책이 필요하다”면서 “환율의 유연성도 물가상승 대응에 필수 요소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실시된 행정적 물가 안정 조치들은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총수요 압력을 완화하거나 인플레 기대심리를 막지는 못한다”고 강조했다.
IMF는 최근의 저축은행 사태에 대해서는 “금융시스템에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수비르 랄 단장은 “저축은행 사태가 한국 정부의 재정부담을 가중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희영 칼럼] 공무원 1명 줄여서 빈곤층 10명 살릴 수 있다면 (0) | 2011.06.18 |
---|---|
선진국 재정적자, 5년 후에도 위기이전 수준 회복 어려워 (0) | 2011.06.18 |
[Weekly BIZ] [Policy] 8월 2일, 美서 벌어질 '負債 드라마' (0) | 2011.06.18 |
[글로벌 up&down] 늪에 빠진 인도 증시 (0) | 2011.06.18 |
그리스 해법 가닥…다우·S&P500 7주만에 상승(종합) (0) | 201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