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해서 얻는 수익은 돈이 돈을 버는 것을 절대 이길 수 없다 주간동아업데이트 2024-12-22 12:202024년 12월 22일[돈의 심리] 자본은 수익률 쫓아 빨리 움직이지만 노동은 그러지 못해일전에 아버지가 시내에 갔다가 굉장히 놀라운 경험을 했다고 한다. 젊었을 때 양복을 맞췄던 양복점이 아직도 있다는 것이었다. 아버지는 마침 경조사 등에 갈 때 입을 새 양복이 필요한 참이라 그 양복점에 들어가 양복을 맞췄다. 약 40년 만에 다시 간 양복점이었는데 그때까지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버지는 경탄을 금치 못했다. 요즘은 양복을 거의 기성복으로 사 입는다. 그럼에도 계속 장사를 해온 건 예전에 양복을 맞춰 입은 고객들이 계속 찾아왔기 때문일 것이다. 이전 고객이 계속 찾는다는 건 옷을 잘 만들고 있다는 뜻이니 분명 실력도 좋을 테다. 40년 넘게 이렇.. 더보기 대학교수가 파이어족을 택한 이유는? 성공 대신 퇴사를 택한 대학교수의 소심하지만 정확한 투자법을 따라가다 보면 당신의 투자 여정은 결코 외롭거나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2022.01.10전작 『나는 카지노에서 투자를 배웠다』로 대중의 이목을 이끈 최성락 교수가 신간 『50억 벌어 교수직도 던진 최성락 투자법』으로 돌아왔다. 점잖은 대학 교수가 카지노에 출입하면서 투자의 원칙과 방법을 배웠다는 것만으로도 파격적인데, 이번에는 한층 더 솔직담백하고 강력해졌다. 아예 대학 교수직을 던지고 파이어족이 된 것이다. 평범한 월급쟁이와 다를 바 없는 대학 교수가 지금 가진 자산 이상의 수익을 얻을 길은 마땅히 없어 보였다. 그런데 그런 그가 불과 3년 만에 순자산 50억을 달성한다. 남들과는 다른 특별한 기술이나 방법이 있었던 게 아니다. 그저 쏟아.. 더보기 《50억 벌어 교수직도 던진 최성락 투자법》 낸 최성락 전 동양미래대 교수 2022년 4월 월간조선2100만 개로 공급량 한정된 비트코인… 개당 1억원 넘을 것글 : 박지현 ⊙ 매출·순익 3년 연속 평균 20% 상승한 종목에 투자하라⊙ 돈 벌어 직장을 그만두면 행복할까? 또 다른 어제의 연속일 뿐최성락1969년생.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同 대학원 행정학 박사, 서울과학종합대 경영학 박사 / 前 동양미래대 경영학과 교수, 現 JR경제연구소 소장사진=조선DB 한 번쯤은 생각해봤을 거다. 돈을 많이 벌면, 일을 그만둬야지. 대체로는 상상에서 그친다. ‘돈을 많이 벌면’이라는 가정 자체가 성립이 잘 안 돼서다. 설령 운 좋게 일확천금을 얻는다 해도, 막상 사표를 던지기는 어렵다. 미련 탓이든, 괜한 사명감 때문이든, 뭐든. 최성락 전 동양미래대 교수는 달랐다. 과감했다. 먹.. 더보기 전체 인구 1% 한국 부자, 전체 금융자산 59% 갖고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4 한국 부자 보고서' 발간한예나 기자입력 2024.12.22. 14:21업데이트 2024.12.22. 14:53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김영재 금융자산이 10억 이상인 한국 부자는 전체 인구의 1%가 채 안되지만, 이들이 전체 가계 금융자산의 59%를 보유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24 한국 부자 보고서’를 내고 “한국에서 금융자산을 10억 원 이상 보유한 부자 수는 약 46만1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0.9%에 불과하다”면서 “이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약 2826조원으로, 전체 가계 금융자산의 약 5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한국 부자를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보유한 개인’으로 정의했는데, .. 더보기 대한민국 상위 1% 부자, 순자산 얼마나 있을까 최형석 기자입력 2023.03.15. 20:02 대한민국에서 상위 1% 부자에 들려면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이 32억8000만원은 돼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대의 아파트 단지./조인원 기자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1% 가구의 순자산 기준선은 32억7920만원으로 2021년(29억원)보다 4억원 가깝게 증가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대상 1만7900가구 중 순자산 상위 1%에 드는 187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7000만원이었다. 이 중 부동산이 43억7300만원으로, 전체 자산의 81%가 넘었다. 한국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74%)보다 높았다. 평균 금융자산은 9억원이었고, 부채는 5억1700만원씩 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 가구.. 더보기 “자산 5.4억 있나요? 딱 평균입니다”…한국人 살림살이 살펴보니 류영상 기자 ifyouare@mk.co.kr입력 : 2024-12-09 15:02:32 가구당 부채 첫 감소가구소득 역대 최대폭 6.3% 늘어사진 확대 올해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자산은 5억 4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56.9%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했지만 10억원 이상인 가구도 10.9%에 달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4894만원이었다. 9일 한국은행·금융감독원·통계청의 ‘2024년 가계금융복지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가구 평균자산은 5억 4022만원이었다. 이는 1년 전보다 2.5% 늘어난 수준이다. 반면 가계부채는 9128만원으로 전년대비 0.6% 줄었다. 1년전과 비교해 부채가 감소한 건 이번이 첫 사례다. 통계청 관계자는 “금융부채의 .. 더보기 "GTX에 교외선까지 품는다"…'겹호재'에 들썩이는 동네 [집코노미-집집폭폭] 김소현 기자기자 구독입력2024.12.06 07:00 수정2024.12.06 07:47 [프리미엄 콘텐츠 집코노미-집집폭폭]기존 3·6호선 지나던 은평 연신내역역 인근 단지, 수요자 관심 늘어연말 개통 앞두고 실거래가 급상승'교외선 연결' 의정부·대곡역도 들썩 “지금은 지하철 6호선 끝 쪽이어서 환승역치고 유동 인구가 그리 많은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서울역과 삼성역 등 서울 주요 지역으로 직행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이 연신내역에 연결되는 순간 얘기가 달라지죠.”(서울 은평구 A공인 관계자) 두 개 이상의 노선이 지나는 환승역은 교통 호재 중에서도 파급력이 강한 재료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단순히 노선 하나가 지나는 일반역보다 많은 사람이 역을 이용하는 데다가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훨씬.. 더보기 "제로 성장 땐 직장인들 평생 1억 저축도 힘들어" ['성장률 1%' 쇼크] [5] 김세직 서울대 교수 인터뷰김정훈 기자입력 2024.12.05. 2일 서울대 우석경제관에서 만난 김세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난 지금 한국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장기 성장률이 5년마다 1%포인트씩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김지호 기자 지난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 후보는 7%, 이회창 후보는 6% 성장을 공약했다. 다음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는 747 공약(연 7% 성장, 4만달러 국민소득, 7대 경제 강국)을 내세웠다. 이들의 임기 때 연평균 성장률 6~7%를 달성하진 못했지만, 당시엔 목표치라도 있었다. 이후 한국 경제 상황은 확연히 달라졌다. 한국은행은 내..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6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