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의 김진숙(52·여)씨는 뉴스 등에서 베이비부머(1955~1965년생) 문제를 접할 때마다 남의 일로만 여겨진다. 공무원이었던 남편 통장으로 매달 200만원이 넘는 퇴직연금이 들어오고, 모아 둔 노후자금도 넉넉한 편이다. 남편은 소일거리로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큰 부담은 없다. 하지만 경기도 검단에 사는 김씨의 초등학교 친구윤민희(여·가명)의 사정은 사뭇 다르다. 3년 전 위암으로 남편을 잃은 뒤 윤씨의 삶은 더욱 힘들어졌다. 식당에서 주 6일 하루 12시간을 일하고 받는 돈은 140만원 가량. 윤씨는 "건강검진이라도 한번 받아 봤으면 좋겠지만 그럴 사정이 안 된다."면서 "당장 대학생 딸의 학자금이 걱정인데 언제쯤 은퇴라는 말을 할 수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베이비붐 세대의 안정이 국가적 난제로 부각된 가운데 사별이나 이혼 등으로 배우자를 잃은 여성 베이비부머의 빈곤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1일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나지나 연구팀의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 베이비부머 여성의 가구총소득은 연평균 588만원에 불과했다.
평균 연령 48.63세의 여성 2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무배우자 베이비부머 여성에 대한 실측 연구로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됐다.
이들 중 취업한 여성은 65.5%(156명)로 미취업 여성보다 많았지만 대부분 공적연금에 가입하지 않았고, 식당 등 비정규 직종에 고용돼 있었다.
또 경제적 노후 준비를 못 한다고 밝힌 여성의 미성년 자녀는 평균 0.50명인 반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여성의 미성년 자녀 수는 0.28명에 불과했다. 이는 노후 준비가 안 된 여성이 자녀의 교육비 문제에서 곤란을 겪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주거형태도 이들 3명 중 1명이 월세에 의존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결혼 해체를 경험한 여성 은퇴자 문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로 이들의 수적 규모를 꼽았다.
2009년 기준으로 베이비붐 세대가 포함된 45~54세 인구 중 사별 및 이혼여성 인구는 약 43만명으로 나타나 같은 연령대 무배우자 남성인구 27만명보다 월등히 많았다.
연령별로도 35~44세 여성의 사별인구가 2만 7000여명, 이혼 14만 2000여명인데 비해 베이비부머 여성의 사별인구는 15만 8000여명, 이혼인구는 27만 4000여명이나 됐다. 전체 연령대에 비해 사별은 5.7배, 이혼은 2배가량 더 높은 수치다.
김미혜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는 "현재는 베이비부머 관련 정책이 남성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가장 빈곤한 계층이 바로 혼자 사는 노인 여성인데, 베이비부머 여성 문제를 방치한다면 결국 지금의 빈곤 문제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사 CEO에서 집짓기 운동 이창식(66)씨 (0) | 2011.02.10 |
---|---|
[스크랩] "자취, 하숙 생활비 장난이 아니네" (0) | 2011.01.15 |
[스크랩] 30대에 부자된 3인의 비결 (0) | 2011.01.10 |
['퇴직 후 재취업 무덤' 한국] 64세 최은영씨의 경우 (0) | 2011.01.10 |
[스크랩] 짠돌이 남편 스트레스 (0) | 201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