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개 키우면 장수하나? 돈 많으면 오래 사나?

1500명의 삶, 80년간 지켜봤다
남을 돕는 사람이 오래 살더라

나는 몇 살까지 살까?

하워드 S. 프리드먼·레슬리 R. 마틴 지음|최수진 옮김
쌤앤파커스|368쪽|1만6000원

100세 노인. 낙천적이기 때문에 그 나이까지 산 것일까, 오래 사니까 낙천적이 된 것일까. 결혼한 사람은 과연 독신자보다 오래 살까. 무리하게 일하면 늙어서 건강하게 살 수 없는 걸까.

1921년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루이스 터먼 박사는 1910년 전후로 태어난 소년 소녀 1500명을 선발했다. 그는 성인이 된 이후의 잠재력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아이들의 가정환경과 성격, 학업 성취도, 교우관계 등을 꼼꼼히 조사했다. 터먼 박사는 1956년에 세상을 떠났지만 후배 연구자들은 1500명의 생애를 80년 동안 추적하는 대규모 수명 연구 프로젝트로 계속 이어갔다.

신간 '나는 몇 살까지 살까?'는 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과 교수 2명이 1990년 이 연구를 이어받아 심리학적 관점에서 터먼 프로젝트를 새롭게 재해석한 결과를 담은 책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가 가진 많은 통념이 근거가 없거나 상당 부분 틀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가령 회사 사장이나 교향악단 지휘자처럼 각종 대표들은 아랫사람들보다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는 흔히 높은 위치가 요구하는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를 떠올리지만, 조사결과 직업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요절할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가장 성공한 그룹은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평균 5년을 더 살았다.

성공해서 부자가 된 사람들이 훌륭한 의사, 좋은 헬스클럽, 안전한 집에 접근하기 용이해서라기보다는 그들의 '성실성'이 건강하게 살 환경을 만들어나간 것이라고 저자들은 분석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투하는 것, 중요한 단계에 도달한 뒤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것, 한결같이 열심히 생산적으로 사는 것이야말로 장수하기 위해 따라야 할 지침들이다."

통념이 어느 정도 맞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이혼 후에 오히려 더 오래 잘 사는데 이혼한 남성은 빨리 죽는다고 알려져 있다. 책에 따르면 남성의 경우 '한결같은 기혼 남성 > 한결같은 독신 남성 > 재혼한 기혼 남성 >이혼 후 독신 남성' 순으로 오래 살았다. 재혼한 남성이 한 배우자와 오래 산 기혼자 남성의 수명을 따라가지 못하는 건 이혼 스트레스 때문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혼이 건강에 해로운 다른 일련의 습관과 생활 패턴에 시동을 건다는 점'이다. 여성은 '한결같은 기혼여성=이혼 후 독신여성 > 한결같은 독신여성 > 재혼한 기혼여성' 순으로 장수했다.

가깝고 편한 친구들이 많고 그들과 정기적으로 만나는 것은 역시 장수에 도움이 되었다. 수명 연장에 가장 확실한 건 '남을 돕는 것'이었다. 친구와 이웃을 돕고 다른 사람들에게 조언해주고 타인을 돌봐주는 사람들은 고령까지 사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애완동물과 장기간에 걸쳐 소통하는 것은 수명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이 외에도 책에는 똑같은 트라우마를 겪고도 왜 어떤 사람들은 잘 극복하는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면 오래 살게 되는지 등 구미가 당기는 항목들이 많다. 앞서 말한 100세 노인의 낙천성은 조사결과 장수의 비결이라기보다 장수의 결과라고 한다. "초가 100개나 꽂혀 있는 환한 생일 케이크 앞에서 누군들 희망적인 생각을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