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23.09.10
월 268만원…최고액 738만원
올 공무원연금 재정적자 6조원
올 공무원연금 재정적자 6조원

한국경제신문이 10일 정우택 국회부의장에게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공무원연금 수령액 상위 1만 명은 매달 최소 394만원을 받았다. 월 400만원 이상 수령자는 8573명이었다. 월 700만원 이상을 받은 사람도 4명 있었다.
그러나 전체로 따져도 공무원연금의 월평균 수령액은 268만원(2022년 기준)으로 국민연금(58만원)보다 4.6배나 많다. 공무원연금의 보험료율은 18%로 국민연금(9%)보다 두 배 높다.
공무원연금은 재정적자로 2001년 이후 20년 넘게 국고를 투입해 지급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올해 공무원연금 재정적자가 6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2050년에는 15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文정부 5년간 공무원 13만명 폭증…연금 적자폭 키워
연금특위, 직역연금도 개혁 추진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는 지난 5월 2기 활동을 시작하면서 직역연금 개혁도 구조개혁에 포함하겠다고 밝혔다. 공무원연금은 최근 2015년 개혁이 있었지만, 이후 가입자와 수급자가 급증하면서 재정이 더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공무원연금 수급자는 2018년 51만 명에서 지난해 63만 명으로 연평균 5.6%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입자도 116만 명에서 128만 명으로 불어났다. 2090년에는 수급자가 132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제도부양비(가입자 100명이 부양하는 수급자 수)는 올해 49.2명에서 2070년 100명을 넘어서고, 2093년 144.5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향후 연금특위에서는 공무원연금 개혁 방향으로 △보험료율 인상 △지급개시연령 상향 △연금 지급률 인하 △연금액 한시적 동결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위 소속 한 민간자문위원은 “2015년 연금액 동결이 5년간 이뤄졌지만 그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 수준이라 효과가 미미했다”며 “급여액을 다시 한시적으로 동결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공무원 노조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 공무원 노조는 국회에서 직역연금 개혁 얘기가 나오자 “즉각 중단하라”며 특위를 압박하기도 했다.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연금기금 고갈 1년 앞당겨져…CBO, “2032년엔 바닥” (0) | 2025.03.03 |
---|---|
연금적자가 매일 885억원씩, 1년이면 32조원이 불어나고 있다. 당장 급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개혁부터 하지 않으면 30년 내에 기금이 완전 고갈 (0) | 2025.02.18 |
빈곤율도 경제활동도 OECD 1위… 韓 노인 세대의 씁쓸한 단면 (0) | 2024.09.21 |
"노인 70%는 스트레스 없어"... 노쇠하는데 삶의 만족도는 왜 높아질까 (0) | 2024.09.21 |
"30년 넘게 국민연금 냈다"...최고참 20만명은 얼마 받을까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