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지혜

“20세기 바꾼 사상가 중 점점 설득력 강해지는 건 다윈뿐”

 

“20세기 바꾼 사상가 중 점점 설득력 강해지는 건 다윈뿐”

[Books가 만난 사람]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

입력 2023.02.11 03:00
 
 
신간 '다윈의 사도들'을 펴낸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 /오종찬 기자

다윈의 사도들

최재천 지음|사이언스북스|476쪽|2만2000원

‘이기적 유전자’를 주장한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 DNA 이중나선구조를 발견한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 ‘빈 서판’과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를 쓴 진화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다윈의 사도’를 자처한다는 점이다. 한국의 대표 진화생물학자 최재천(69)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가 이들을 포함한 다윈의 학문적 후계자 12명과 연쇄 인터뷰를 했다. 신간 ‘다윈의 사도들’(사이언스북스)은 그 결과물.

 

다윈이 ‘종의 기원’을 펴낸 것이 1859년이다. 8일 최재천 교수를 만나 160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도 다윈의 진화론이 의미 있는 이유를 물었다.

 

-’열두 명의 사도’를 다루는 이 책을 어떻게 기획했나.

“ ‘종의 기원’ 출간 150주년이었던 2009년부터 12명의 석학과 연쇄 인터뷰에 나섰다. 흔히 20세기를 바꾼 사상가로 프로이트, 마르크스, 다윈을 꼽는다. 다윈은 세 명 중 유일하게 이론의 설득력이 점점 강해지고 있는 인물이다. 작년 노벨생리학상을 받은 스반테 페보 교수 역시 진화학자다. 행동경제학∙진화경제학은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경제학 내에서 비주류였지만, 최근엔 행동경제학자가 노벨상을 받을 정도로 주류가 됐다. 스티븐 핑커 같은 석학은 심리학 전체가 과학에 기반을 둔 진화심리학적인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에선 다윈 이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충분히 높지 않았다. 진화론의 현대적 의미를 알리고자 이 기획을 시작하게 됐다.”

 

-진화론에 대해 설명해달라. 다윈의 핵심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변화를 일으키는 변이(變異)들 간 경쟁관계에서 누군가는 번식에 더 성공하고 누군가는 덜 성공하는데, 생물학에선 이를 ‘차등번식’이라고 설명한다. 번식을 많이 한 개체들은 더욱 존재감이 커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 상태에서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난다. 단순하지만 모든 세상사에 적용되는 논리다.”

인간의 진화 과정을 표현한 이미지. 최재천 교수는 “현재의 모든 생물이 자연계의 법칙을 따라 탄생했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인간은 겸허한 마음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석학들을 ‘열두 명의 사도’라고 표현했다.

“ ‘예수의 12 사도’에 빗댄 비유적 표현이다. 예수의 제자들은 각기 예수의 말을 해석하고 전파하면서 지금의 기독교를 만들었다.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제자들이 다윈 사후 진화론을 재해석하면서 더 발전시켰다는 의미에서 명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