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1
10년 전 19년9개월에서 4년7개월 단축…은퇴시점도 53살에서 49.3살로 짧아져
최근 10년새 주된 직장의 근속 기간이 5년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이 급속하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근속 기간이 짧아진 것은 퇴직자 나이가 낮아져 제 2·3의 일자리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1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를 보면, 55∼64살 취업 유경험자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근무한 기간은 평균 15년 2개월이었다. 그만둘 당시 평균 나이는 49.3살로 쉰 살에 못 미친다. 성별로는 남자는 18년 9개월을 일한 뒤 51.2살에, 여자는 11년 6개월을 일한 뒤 47.7살에 주된 일자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11년 5월 통계청 조사에서는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19년 9개월로 20년에 육박했다. 일자리를 그만둔 나이는 평균 53살이었다. 다만, 이 조사는 55∼79살 취업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 차이가 있다. 당시 남자는 22년 10개월을 일한 뒤 55살에, 여자는 16년 9개월을 일한 뒤 51살에 그만뒀다. 2016년과 2017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60살 정년'이 의무화됐지만,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는 시점은 오히려 빨라진 셈이다.
퇴직 이유를 보면 2011년에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26.1%)가 가장 많았다. 이어 ‘사업 부진·조업 중단·휴폐업’(25.7%),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14.3%), ‘정년퇴직’(10.9%) 등의 순이었다. 반면 올해는 ‘사업 부진·조업 중단·휴폐업’(33%)을 가장 많이 꼽았고, ‘건강이 좋지 않아서’(18.8%), ‘가족을 돌보기 위해’(14.1%),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12.2%), ‘정년퇴직’(7.5%) 등이 뒤를 이었다.
주된 직장에서 점점 일찍 퇴직하는 추세지만, 계속 일하고 싶어하는 고령층은 늘고 있다. 올해 5월 고령층(55∼79살) 고용률은 56%로 10년 전(50.8%)보다 5.2%포인트 높았다. 또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의 비중도 58.5%에서 68.1%로 뛰었다. 일하려는 고령층 10명 중 6명(58.7%)은 ‘생활비에 보탬'을 이유로 꼽았다. 이들의 희망 은퇴 시기는 평균 73살이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자살률 OECD 압도적 1위… 준비 안된 초고령 사회 (0) | 2023.02.01 |
---|---|
우리나라 연금 월 평균 수령액 83만원… 일본의 ‘절반’ 수준 (0) | 2023.01.29 |
NYT “한국, 65세 이상 40%가 은퇴 못해”... 고령 노동 집중 조명 (0) | 2023.01.09 |
‘58년 개띠’가 노인 되는 날 (0) | 2022.12.25 |
정년 앞둔 60대 선생님 “연금 받아도 230만원 모자란데...”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