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20-01-03 05:00:10
도시와 도시 ‘초연결 시대’ 개막
“교통은 복지다. 그래서 문제는 다시, 속도다.”(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 장관의 발언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교통망은 복지의 영역이다. 하지만 도시의 확장 속도에 비해 교통망 확보는 더디기만 하다. 수도권의 ‘인구 대비 도시ㆍ광역 철도 연장’은 뉴욕, 파리, 런던과 같은 대도시권에 비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우리나라 출퇴근 평균 시간은 58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8분)의 2.1배 수준이다.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10년 28조5000억원에서 2015년에는 33조3000억원으로 증가세다. 교통혼잡에 따른 시간 낭비, 차량 운행 비용, 환경오염과 같은 각종 비용지출이 천문학적이다.
KTX(초고속 열차)가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었다면, GTX는 수도권을 30분 생활권으로 만들 전망이다.
수도권 광역 교통망의 핵심인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 논의를 시작한 지 10여년만에 본궤도에 올랐다. 지난해 B노선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하면서 AㆍBㆍC 노선 모두 사업추진에 속도가 붙었다.
AㆍBㆍC 3개 노선의 총사업비는 약 13조원, 운행 거리는 총 211㎞다. GTX의 경제적 효과를 가장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는 예타 심사 자료다. 경기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 삼성역을 지나 동탄까지 10개 역을 잇는 A노선은 2014년 예타를 통과했고, 2023년 완공을 목표로 2018년말 착공했다. 전국 생산유발효과 7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조8000억원에 이르고 고용(5만명) 및 취업(5만7000명) 유발효과가 10만명이 넘는다.
인천 송도에서 여의도, 용산 등 서울 시내를 거쳐 별내, 평내호평, 마석까지 13개 역을 잇는 B노선은 하루 27만명이 이용해 연간 경제효과가 5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행시간절감편익이 연 3391억원, 운행비용절감편익 연 1207억원, 교통사고절감편익은 연 147억원이다. 지난해 8월 예타를 통과해 이르면 2022년 착공한다.
경기 양주시 덕정역에서 창동, 청량리, 과천, 수원 등 10개역을 지나는 C노선은 현재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며 2021년 착공해 2026년 개통이 예상된다. 예타 결과 2026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35만명이 노선을 이용하고 승용차 통행량은 하루 7만2000대가량 줄어드는 등 사업의 경제적 효과가 5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공사비의 두 배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노선이 지나가는 곳에는 지역의 개발 활성화나 기업 유치, 집값 상승 등 복합적인 경제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GTX 노선의 가시적인 효과는 미분양 해소다. A노선 파주 운정지구와 B노선 남양주 미분양 아파트가 빠르게 줄고 있다. C노선의 과천, 수원의 부동산 시세도 뛰고 있다. 일반 지하철보다 3∼4배 빠른 최고 시속 180㎞로 대도시권의 거리를 좁혀주는 GTX 노선은 인구 유입효과를 불러와 주택수요를 만들고, 역을 중심으로 상권을 빠르게 키워낸다. 판교신도시와 광교신도시의 집값을 끌어올린 것도 신분당선 개통 영향이 컸다.
GTX의 추가 노선 논의도 이미 시작됐다. 정부의 ‘광역교통 2030’ 비전에 따르면 D노선은 현재 정부가 수립 중인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년)과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2021~2030년)에 반영돼 내년 하반기에 구체적 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새 노선은 서울 서쪽 신도시와 업무지구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김포ㆍ검단 지역을 출발해 마곡ㆍ여의도를 관통한 뒤 잠실을 지나 하남에서 끝나는 노선이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GTX는 복지와 경제를 함께 싣고 달리는 쾌속 열차”라며 “TBM(기계식 굴착장비), 복합환승센터처럼 GTX 개발과정에서 쌓인 다양한 지하개발기술도 유무형의 경제적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형기자 kth@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원전 34년, 核강국 미국의 굴욕… 스스로 원전 짓지도 못한다 (0) | 2020.05.18 |
---|---|
“전장에서 희망은 ‘살자, 살아남자’ 뿐…다른 꿈은 꿀 수 없었다” (0) | 2020.05.15 |
북한산 등산코스 도봉산입구~신선대 구간가장 인기 (0) | 2020.05.04 |
우리나라 연금제도, 언제 도입됐나 (0) | 2020.04.25 |
38선을 넘나든 나의 6.25 手記 - (2부) "너 같은 새끼 필요 없어. 열 발 자국 걸어가"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