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米=八+八, 쌀 한 톨 얻기 위해 88번의 손길 필요하단 뜻… 그 수고로움 잊지 마세요

입력 : 2013.10.12 03:13

 
	벼
  

 
농가월령가 9월령은 '9월이라 계추(늦가을) 되니 한로·상강 절기로다. 제비는 돌아가고 떼 기러기 언제 왔는가'로 시작한다.

지난 8일이 찬이슬 내리고 한창 추수한다는 한로(寒露)였다. 그리하여 이제 남도에서도 알알이 영근 벼(나락) 베기를 시작할 것이다.

예전엔 벼가 익기 전 풋바심한 꼬들꼬들한 찐쌀을 주머니에 넣어 다니면서 질근질근 씹었는데, 생각할수록 고소하고 달착지근한 그때 그 쌀 맛이 입안에 한가득 돈다. 쌀 한 톨에도 만인의 노고가 담겼고, 천지의 은혜가 스며 있으며, 넓은 우주가 들었다고 한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암튼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벼농사 수확량은 지난해보다 5~10% 늘어나 풍년이 들 것으로 보이는데, 9월 등숙기(登熟期·곡식이 여무는 시기)에 태풍이 없어서라고 한다.

아무렴 누가 뭐래도 농사는 하늘이 짓는 것. 그런데 이미 우리나라 일부에서 벼를 2기작(二期作·같은 농장에 1년에 2회 동일한 농작물을 재배함)하고 있다니 지구온난화가 결코 나쁜 것만 아닌 듯. 예전엔 가을걷이 끝나면 벼메뚜기·논고둥(논우렁이)·미꾸라지 잡기 하고, 이삭 줍기도 빼놓지 않았는데….

벼의 원산지는 중국 주강(珠江)일 것으로 추정한다. 벼는 크게 차지면서 씨알이 짧은 우리가 먹는 일본 품종(Japonica type)과 점도가 낮아 밥알이 풀풀 따로 노는 길쭉한 인도 품종(Indica type)으로 나뉘는데, 전 세계 쌀 생산의 90%는 인도 품종인 안남미다.

또한 벼는 배젖(배유)의 특성에 따라 쌀알에 찰기가 적은 메벼와 차진 찰벼로 나누며, 멥쌀은 주로 밥쌀용으로, 찹쌀은 떡쌀용으로 쓴다.

벼는 외떡잎식물, 볏과(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반듯하게 자라고, 꽃은 암수갖춘꽃(양성화)으로 수술 6개와 암술 1개가 들었다.

함께 볏과에 드는 세계 3대 곡물인 밀과 옥수수도 다행히 벼처럼 풍매화로 제꽃가루받이(자가수분)한다. 꽃가루받이(수분)를 도맡은 꿀벌이 70~80%가 마구 죽어 나자빠지는 판인데, 혹시나 이들이 충매화라 꿀벌 신세를 지는 타가수분을 했다면 어쩔 뻔했나.

가문 논 물꼬에 물 들어가는 것과 배고픈 자식 입에 밥 들어가는 것이 제일 보기 좋단다.

논벼뿌리가 물속에 있는지라 넉넉히 공기(산소)를 얻을 수 없으므로 잎의 기공(氣孔)으로 든 공기가 줄기를 타고 내려가야 하기에 줄기 속이 비었다. 짚은 생활의 고갱이로 여물 쑤는 데 으뜸이요, 그것으로 새끼 꼬고, 새끼를 엮어 덕석·멍석을 짰다. 또 지붕 이엉을 이었고, 둥우리를 만들었으며, 작두로 토막 내 황토에 버무려 담벼락을 쌓았지. 뭐니 뭐니 해도 사랑방에서 죽치고 앉아 짚신짝 삼던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했다. 벼는 염색체가 12개며, 이삭 하나에 낟알이 보통 150~160개 달린다. 그리고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비율(%)이 쌀은 80:7.1:0.7, 밀은 71:12.6:1.5, 옥수수는 74:9.4:4.8로 셋을 비교하면 단연 탄수화물은 쌀, 단백질은 밀, 지방은 옥수수에 많다.

입쌀을 뜻하는 '米'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로 벼 낟알 하나를 얻는 데 여든여덟 번 손질이 간다는 뜻이며, 알다시피 88세를 미수(米壽)라 한다. 곱게 운명(殞命)하거나, 잡았던 권력이나 누렸던 호강이 하루아침에 몰락할 때 "짚불 꺼지듯 한다"고 한다. 태어나 엄마 젖 말라 쌀미음 먹고 살아나, 긴긴 평생을 밥만 축내더니만, 어느덧 늙어빠져 머잖아 반함(飯含·염습 때 죽은 사람의 입에 구슬이나 쌀을 물림) 쌀을 한입 머금게 생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