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박사 딴 10명 중 3명은 '백수', 역대 최고

작년 박사 학위 취득자 10명 중 3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미만 ‘청년 박사’는 절반이 무직자였다.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백수 박사’가 집계된 것으로 고용 한파로 박사 취득자도 취업에 애를 먹는 것으로 분석된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 응답자 1만442명 중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비율은 70.4%로 나타났다. 일을 구하지 못한 미취업(실업자)은 26.6%,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인구는 3%였다. 무직자 비율이 29.6%에 달하는 것이다.

이 조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해당 연도 2월과 전년도 8월에 졸업한 박사 취득자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해 진행한다. 2014년 이 조사를 처음 시작했을 당시 무직자 비율은 24.5%였다. 2018년 무직자 비율 25.9% 등 등락을 보이다 작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30세 미만 박사 취득자 537명 중 무직자는 47.7%로 거의 절반이 취업을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성별로 보면 남성 박사 취득자 6288명 중 27.4%, 여성 박사 4154명 중 33.1%가 무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별로 보면 ‘예술 및 인문학’(40.1%),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37.7%), ‘사회과학·언론 및 정보학’(33.1%)의 무직자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건 및 복지’(20.9%), ‘교육’(21.7%), ‘경영·행정 및 법’(23.9%) 등은 무직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작년에 취업한 박사 취득자 7364명 중 27.6%가 연봉 2000만~4000만원 미만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19.8%는 연봉 4000만~6000만원 미만이었고, 1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는 14.4%였다.
박사 취득자 수는 늘어가는데 고용 한파로 이들이 취업할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탓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박사 취득자 수는 2019년 1만5308명에서 작년 1만8714명으로 3406명(22.2%) 늘었다.
그러나 작년 2월 기준 전체 청년층 취업자는 2023년 2월 대비 6만1000명 줄었다. 2022년 11월부터 연속 감소세다. 고용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인 만큼 박사도 구직에 애를 먹는단 것이다.
박사 따도 힘든 한국”…박사학위 ‘백수’ 30%, 취업해도 절반은 연봉 2천만~6천만원
지난해 박사 학위 수여자 10명 중 3명꼴로 ‘백수’로 조사됐다. 30세 미만 청년 박사는 절반 가까이가 직업이 없었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 응답자 1만442명 중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비율은 70.4%로 집계됐다.
일을 구하지 못한 미취업(실업자)은 26.6%, 취업도 실업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3.0%였다.
일자리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무직자’의 비율은 총 29.6%로, 2014년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
무직자 비율은 2014년 24.5%에서 시작해 2018년까지 25.9%로 20% 중반에 머물렀지만, 2019년 29.3%로 껑충 뛰어올랐고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이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전국 대학에서 전년도 8월과 해당 연도 2월에 졸업한 박사 학위 취득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다.
이같은 현상은 고학력자를 위한 양질의 고임금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통념과 다르게 고소득·고학력자의 일자리를 더 많이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는 한국은행 등의 전망도 나오고 있어 악화 흐름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마저 거론된다.
연령별로 보면 지난해 특히 청년층 신규 박사의 구직 어려움이 역대급으로 심각했다.
지난해 박사학위를 딴 30세 미만 응답자 537명 중 무직자는 47.7%로 역시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다.
성별로 보면 무직인 여성 박사의 비율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작년 무직자의 비율은 남성 박사(6288명) 중 27.4%, 여성 박사(4154명) 중 33.1%로 각각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 박사 중 그나마 일자리를 구한 취업자의 절반 가까이는 2000만원∼6000만원 수준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응답자 7346명 중 27.6%가 2000만원∼4000만원 미만을 받는다고 했다. 19.8%는 4000만원∼6000만원 미만이라고 했다. 1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 박사는 14.4%였다.
'고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사 모셔간다"도 옛말…국내 최고 대학원 나와도 '백수' 되는 원인 (0) | 2025.03.09 |
---|---|
“이 정도일 줄은 몰랐어요”...텅 비어버린 명문대 취업박람회 (0) | 2025.03.06 |
"연봉 7000만원이 12억 됐다"…한국 떠난 S급 인재 '쓴웃음' (0) | 2024.11.01 |
"실패해도 연봉 두배" 들썩…'흉흉한 소문'에 기업들 '초비상' (0) | 2024.11.01 |
韓 '핵심두뇌 유출' 1위…中의 11배 (0)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