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에 ‘광화문역’을 추가하려 했지만, 사실상 불발됐다고 밝혔다.
수도권 GTX 노선도. /그래픽=송윤혜
25일 서울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최근 시의회 교통위원회에 “GTX-A노선에 광화문역을 신설하기 곤란하다”고 보고했다. A노선은 2023년 말 개통될 예정이어서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노선 계획을 바꾸기 어렵다는 것이다.
앞서 서울시는 GTX 노선에 강북권 3곳을 포함하는 안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 GTX-A노선에 광화문(시청)역, B노선에 동대문(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C노선에 왕십리역을 추가하는 방안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광화문 등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이 GTX에서 다시 지하철로 갈아타야 하는 불편이 예상돼 광화문역 신설을 추진했지만, A노선 공정상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 상황”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나머지 2곳인 동대문·왕십리역 신설은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B노선은 현재 기본계획 수립 단계여서 민간사업자를 공모할 때 동대문역을 추가하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C노선은 지난 17일 민간사업자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건설컨소시엄이 선정됐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왕십리역을 추가 정거장으로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신설될 가능성이 커졌다.
기존 계획상 GTX 노선의 서울 내 정거장은 A노선 수서·삼성·서울역·연신내, B노선 신도림·여의도·용산·서울역·청량리·망우, C노선 양재·삼성·청량리·광운대·창동 등 15개다. 여기에 서울시가 제안한 2개 역이 추가되면 서울 내 GTX 정거장은 총 17개가 된다.
시는 이른바 ‘김부선GTX-D’으로 불리는 서부권 광역급행철도(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를 서울 강동에서 하남까지 연장하자 의견도 국토부에 제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동구 주민들이 GTX-D 노선 연장을 요구하는 등 관련 6개 자치구의 요청이 있어 이런 의견을 국토부에 냈다”고 밝혔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최재형 감사원장’, 그 삶의 궤적“작은 자, 보잘것없는 자를 진심으로 섬기는 사람” (0) | 2021.06.30 |
---|---|
I rode Seoul's famous subway system for a week to see if it's really the best in the world, and saw why New York will never catch up (0) | 2021.06.28 |
서울법대 운동권 출신이 중앙지검 공안·특수 수사 지휘 (0) | 2021.06.25 |
58년 개띠를 알아야 시장에서 성공한다 (0) | 2021.06.18 |
'82년 개띠'가 묻고 '58 개띠'가 답했다 "인생 별 거 있다" (0) | 2021.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