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전자[005930] 회장의 주식 재산은 2011년 이후 현재까지 2배 이상 늘어난 반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주식 재산은 같은 기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삼성 이건희 회장, 현대차[005380] 정몽구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등 3인의 주식 재산 변동을 분석해 이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분석 대상 기간은 2011년 8월부터 이달 2일까지이며, LG그룹 총수였던 구본무 전 회장은 2018년 작고해 대상에서 제외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1년 8월17일 기준으로 이건희 회장과 정몽구 회장의 주식 가치는 각각 7조5천795억원, 7조5천139억원으로 거의 비슷했다.
백분율로 따지면 1% 차이도 나지 않을 정도로 대등한 수준이었지만 9년이 지난 현재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주요 대기업 (CG)
이건희 회장 주식 가치는 2일 기준 17조3천800억원으로 2011년 8월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이 회장 주식 재산은 2012년 10조원대, 2015년 17조원대로 늘었고 2016년 6월말 11조원대로 잠시 하락했다가 2018년 초 20조원대를 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달 초와 작년 초를 비교하면 28.2% 상승하며 부동의 '주식재산 부자 1위'를 지키고 있다.
이와 달리 정몽구 회장의 주식 재산은 2일 기준 3조8천629억원으로 2011년 8월의 반토막이 됐다.
정 회장 주식 재산은 2011년 8월 7조5천139억원에서 2012년 초 6조8천893억원, 2015년 초 5조3천428억원으로 계속 떨어졌다. 올해 초에는 작년 초보다 8.4% 늘긴 했지만 여전히 3조원대에 머물렀다.
이처럼 격차가 크게 벌어진 이유는 핵심 주식 종목의 지분 가치가 엇갈렸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주식가치는 크게 높아진 반면, 현대차와 현대모비스[012330] 주식가치는 하락한 것이다.
SK 최태원 회장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초 최 회장의 주식 재산은 3조3천477억원이다,
최 회장의 보유한 SK 주식 가치는 2011년 3조1천39억원에서 2013년 3월 말 1조8천354억원으로 하락, 2018년에는 4조6천597억원으로 급등을 거쳐 작년 초와 올해 초에는 3조3천억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최 회장의 주식 가치가 더 오르면 정몽구 회장을 곧 추월할 수 있다.
이번 분석 결과는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기도 한다.
오일선 소장은 "장부상 평가되는 주식평가액을 분석한 것이지만 앞으로 상속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상속세 규모 등에서 크게 쟁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제가 더 올려놨다… 서울도심 집값 상승률 세계 1위 (0) | 2020.07.04 |
---|---|
“2020년, 수도권 인구 수가 非수도권 인구 처음으로 추월” (0) | 2020.06.30 |
GTX 30개 역에 환승센터… 3분내 갈아탄다 (0) | 2020.06.03 |
고양시 집값 대장자리 바뀌었다…덕양구, 처음으로 일산동구 제쳐 (0) | 2020.06.03 |
탈원전 34년, 核강국 미국의 굴욕… 스스로 원전 짓지도 못한다 (0) | 202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