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3.05 02:01 | 수정 : 2015.03.05 07:24
-美연구팀, 사이언스 게재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하빌리스 중간 種族
에티오피아에서 발견… 가장 오래된 인류 직계 조상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인류의 직계 조상이 아프리카에서 발견됐다. 약 280만년 전에 살았던 이 종족은 인간보다는 원숭이에 훨씬 가까웠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도구와 불을 쓰는 초기 인류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였다. 인류 진화의 역사를 수십만년 앞당긴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라스베이거스대 인류학과 브라이언 빌모아레 교수는 "2013년 1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아래턱 뼈와 치아 화석을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화석은 발견된 '레디-게라루(Ledi Geraru)' 지역의 이름을 따 'LD350-1'이라는 임시 이름이 붙여졌다. 연구 결과는 저명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4일(현지 시각) 온라인 속보로 게재됐다.
미국 라스베이거스대 인류학과 브라이언 빌모아레 교수는 "2013년 1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아래턱 뼈와 치아 화석을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화석은 발견된 '레디-게라루(Ledi Geraru)' 지역의 이름을 따 'LD350-1'이라는 임시 이름이 붙여졌다. 연구 결과는 저명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4일(현지 시각) 온라인 속보로 게재됐다.
현재까지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호모속 종족은 240만~250만년 전 등장한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루돌펜시스였다. 이들은 도구를 사용해 먹이를 자르거나 찢을 수 있었다. 그만큼 먹기가 수월해 턱뼈가 작아졌다. 그 결과 얼굴 모양이 변하면서 뇌가 급격히 커지는 등 현재의 인류의 모습과 가까워졌다.
문제는 300만년 전까지 번성했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240만~250만년 전 등장한 호모 하빌리스·호모 루돌펜시스 사이에 50만년이라는 너무 긴 시간이 비고, 또 너무 많이 달라졌다는 점이었다.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50만년 사이에 갑자기 뇌 용량이 수백㎖ 커지고, 턱이 확 줄어들었다는 것은 진화학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았다"면서 "두 종족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는 다른 종족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해왔다"고 밝혔다.
빌모아레 교수팀은 화석을 덮고 있던 화산재 흙을 분석, 'LD350-1'이 280만~275만년 전 것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시기적으로 정확히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하빌리스 사이다. 특히 턱뼈의 두께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얇고 작았지만, 호모 하빌리스보다는 두꺼웠다. 치아의 배열이나 크기 역시 두 종족의 중간 정도였다.
연구진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LD350-1로 급격히 진화한 이유도 밝혀냈다. 당시 지구에는 많은 화산 폭발이 발생하면서 기후가 건조하게 변했는데, 이에 적응하기 위해 동물들의 진화 속도가 빨라졌다는 것이다. 이정모 관장은 "생물은 생존의 위기를 느끼면 더 빠르고 다양하게 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주와 지구, 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뛰어났던 네안데르탈人은 왜 '우리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밀렸나 (0) | 2015.04.26 |
---|---|
'두 발 유인원' 족보, 50만년 앞당겨졌다 (0) | 2015.04.02 |
[이정모의 자연사 이야기] 생존 위한 귀가 음악 즐기는 귀 되기까지 3억 년 걸려 (0) | 2015.03.01 |
"한 시절 창궐했던 곤충이 갑자기 사라지듯… 생물 세계에 영원불변은 없어" (0) | 2015.02.23 |
허블망원경 2017년 은퇴… 새로운 '지구의 눈' 출동 준비 (0) | 201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