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세대부터는 평균수명도 높아졌다. 2013년 생명표 기준으로 기대여명은 평균 81.9세(남 78.5세, 여 85.1세)에 이른다. 전광우(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연세대 석좌교수는 “사고나 중대 질병을 겪지 않으면 90세까지 살 수 있다는 의미”라 고 지적했다. 이러다 보니 퇴직하고도 은퇴하지 못하고 수십 년 구직 시장을 기웃거려야 하는 ‘반퇴(半退) 시대’가 일상이 됐다. 본지가 지난해 12월 만 40~59세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이런 변화가 감지된다.
앞으로 30년간 퇴직 쇼크 … “노후 준비 패러다임 바꿔야”
이미 퇴직을 경험한 55~59년생 다섯 중 네 명이 지금도 일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국내 민간기업의 실질 퇴직연령이 평균 53세를 갓 넘긴다는 점을 고려하면 퇴직자 상당수가 재취업·창업·귀농 등을 통해 구직 시장을 떠나지 않은 셈이다.
서울시 은평구 의 서울인생이모작지원센터. 2년 전 대기업에서 명예퇴직한 고영수(56)씨는 요즘 도심에서 고부가가치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하는 도시농업 기술을 익히고 있다. 고씨는 “중소기업으로 눈높이를 낮춰 여기저기 원서를 내봤지만 오라는 곳이 없었다”며 “함께 퇴직한 동료들도 비슷한 처지”라고 말했다. 요즘 이 센터는 고씨처럼 재취업이나 새 일거리를 찾아 나선 50대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원창수 서울인생이모작지원센터 사무국장은 “2013년 2월 문을 연 지 2년도 안 돼 센터를 찾은 상담자가 1만 명을 넘어섰다”며 “올해는 지난 2년의 두 배로 늘 것에 대비해 예산도 지난해 20억원에서 35억원으로 늘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제도와 관행은 여전히 고도성장기에 맞춰져 있다. 내년부터 정년이 연장된다고는 하나 실제 정년이 늘어나자면 임금피크제나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등 후속 대책이 따라줘야 한다.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동시장 개혁이 이뤄지지 않은 채 386세대의 퇴직 쓰나미를 맞는다면 좌우 이념대립 못지않게 세대 간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퇴 시대가 장기화하면 경기회복도 요원해진다. 무직과 비정규직을 오가며 30년을 버텨야 하는 반퇴 시대 퇴직자들이 많아지면 안 그래도 위축된 소비가 꽁꽁 얼어붙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별취재팀=김동호·김기찬 선임기자
박진석·박현영·염지현·최현주·박유미·김은정 기자 hope.bantoi@joongang.co.kr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만 준비해도 퇴직 후 10년이 달라진다 (0) | 2015.01.19 |
---|---|
50대, 이 겨울, 칼바람… 베이비붐 세대의 비애 (0) | 2015.01.17 |
은퇴 재테크 '四去之惡(사거지악)' (0) | 2014.12.23 |
월평균 연금, 사립교원 307만원 > 군인 290만원 > 공무원 278만원 (0) | 2014.12.23 |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3부] 40代, 특기·취미 키울 수 있는 마지막 시기… '평생 친구' 될 배우자와 더욱 가까워져라 (0) | 201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