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가 지난 9월 22일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중장년 채용한마당'에 참가한 40세 이상의 중장년 구직자 948명을 대상으로 한 '2014년 중장년 재취업 인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장년 구직자의 69.1%가 퇴직이후 쓸 자금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보통이다'는 23.4%이며, '충분하다'는 7.5%에 불과했다.
은퇴자금이 모자라는 이유는 사전 대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중장년들은 퇴직이후 인생설계를 위한 사전준비 여부에 대해 '준비안했다'(65.3%), '보통이다'(21.7%), '준비했다'(13.0%) 순으로 응답했다.
이들 대부분은 노후 자금 해결방안으로 재취업을 생각하고 있으며, 낮은 직급과 연봉을 감수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퇴직이후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묻는 질문에 중장년은 '재취업’(72.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연금 또는 퇴직금으로 유지'(10.0%), '창업'(6.0%)이 뒤를 이었다.
이들의 절반 이상(54.9%)은 재취업 희망연봉으로 2,000만원(27.7%) 내외 내지 3,000만원(27.2%)내외를 요구했으며, 4,000만원내외가 20.7%, 5,000만원 내외도 17.3%에 달했다.
재취업 희망직종은 '사무·관리직'(38.0%), '영업·마케팅'(16.3%), '연구·기술직'(15.7%), '단순기능직'(14.0%), '생산·품질관리직'(10.7%)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직급은 '사원급' (30.7%), '차·부장급'(22.9%), '관계없음'(21.6%), '임원급'(17.1%) 순으로 조사됐다.
협력센터의 박지영 선임컨설턴트는 "설문응답 중장년의 퇴직 당시 직책이 66.6%가 차장급 이상이고, 평균연봉도 7120만원임을 감안할 때, 연봉 3000만원 이하의 사원급으로라도 재취업하겠다는 것은 그만큼 중장년 재취업에 대한 열의가 높음을 방증한다"고 밝혔다.
중장년은 퇴직이후 노후에 필요한 자금마련을 위해 정년 퇴직이후 10년 정도(평균 67.4세) 더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에서 응답자의 70%는 '65~70세까지 일해야 된다'고 답했고, '71세 이상'도 12.8%에 달했다.
중장년은 구직활동을 위해 '고용지원센터 등 공공취업지원기관을 이용한다'(37.4%)는 응답이 많았고, 이어 '잡포털 구인정보 활용'(36.1%) , '가족, 친인척, 지인 등 소개'(13.6%) 등이 뒤를 이었다.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8명(80.6%)은 구직활동시 겪는 큰 어려움으로 '업무능력보다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풍토'(42.8%)와 '중장년 채용기업의 수요 부족'(37.8%)을 지적했다.
중장년 재취업이 활성화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재취업지원 서비스로 중장년 구직자 10명 중 7명은 '다양한 재취업 정보제공과 알선'(68.7%)을 꼽았다. 이어 '재취업 관련 전문교육'(18.3%), '재취업 지원시설 제공'(9.7%) 순으로 응답했다.
협력센터 양금승 소장은 "중장년의 구직난과 중소기업의 구인수요간 미스매칭은 상호간의 인식과 정보부족에서 비롯된다"고 밝히고 "전경련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의 역량을 갖춘 구직회원을 중소기업이 적절히 활용하면 기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은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마지막 10년] [3부] 40代, 특기·취미 키울 수 있는 마지막 시기… '평생 친구' 될 배우자와 더욱 가까워져라 (0) | 2014.12.04 |
---|---|
"은퇴 前에 준비해놓을걸…" 가장 후회하는 세가지는? (0) | 2014.12.03 |
외환위기때 거리에 내몰린 금융맨들은… (0) | 2014.11.29 |
인생을 다채롭게 해주는 5가지 은퇴 방식 (0) | 2014.09.18 |
老後자금 알차게 모은 중산층 980명의 7가지 충고 (0) | 2014.09.15 |